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재인(인천대학교) pp.5-2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005
초록보기
초록

과학지식 생산 유통의 투명성, 효율성, 신속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새로운 학술 출판 모델이 시도되면서, 동료 심사 이력의 검증과 개방을 위한 피어 리뷰 플렛폼도 활성화되고 있다. Publons는 3백만명 이상의 전 세계 연구자들의 동료 심사 이력을 추적해 검증하고 공개할 뿐 아니라 업적으로 인정하기 위한 글로벌 플렛폼이다. 본 연구는 Publons를 활용해 국제 학술지 심사 위원으로 활동하는 국내 대학 소속 연구자 579명을 선별해 동료 심사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국제 학술지에서 활발한 심사 활동을 하는 국내 연구자는 공학, 의약학 분야에 많으며, 대부분의 분야에서 높은 국제 학술지 출판 실적을 보유한 조교수급 이상의 교수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든 학문 분야에서 극단적으로 높은 심사 논문수를 보이는 소수의 심사자가 존재하였으며, 심사자의 신분, 나이, 국적에 따라서 심사 논문수와 심사 보고서 길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심사자의 심사 논문수와 SCI 급 출판 논문수 사이에는 약한 상관성(r = 0.311)이 존재했지만, 많은 연구실적을 보유한 연구자가 그만큼 많은 국제 학술지 심사 활동을 한다고 말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s a new academic publication model is attempted to improve the transparency, efficiency, and speed of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open peer review platform for verification and openness of peer review history is also activated. Publons is a global platform for tracking, validating, disclosing, and recognizing the peer-reviewed histories of more than 3 million researchers worldwide. This study analyzed the review activities of 579 researchers from domestic universities who are actively reviewing international journals through Publ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ers from domestic universities who actively review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were found to be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s, and in most fields, assistant professors or higher with high WOS indexed research papers are participating. Second, there was a long-tail phenomenon in which a small number of reviewers with extremely high number of review papers existed in all academic fiel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view papers and review report length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academic status, and age of the reviewers. Lastly, although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papers reviewed by reviewers and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it was found that researchers with an extremely large number of reviews do not necessarily produce as many research papers.

이미화(공주대학교) ; 이은주(동의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pp.25-45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0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LRM 이후의 목록 동향을 반영한 KORMARC-통합서지용의 수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LRM 이후의 목록 동향에 관한 문헌연구, MARC 21 토론문서 분석, MARC 21과 KORMARC의 필드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KORMARC에서 개정이 필요한 필드 및 식별기호의 수용방안 및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LRM/RDA 반영 측면에서 대표표현형은 381 혹은 387 필드를 확장하고, 구현형서술은 881 필드와 그 식별기호를 변경 및 추가하고, 데이터출처는 ▾7 식별기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출처 코드를 사용해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링크드데이터 측면에서 RWO를 위해 식별기호 ▾1을 추가하고, 관련 저작 식별자 기술을 위해 758 식별기호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KORMARC와 BIBFRAME의 데이터 상호연계를 위해 KORMARC 개발시 BIBFRAME 클래스와 속성과의 매핑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그 외에도 251 버전정보, 335 확장계획, 341 내용접근성, 348 악보 특성, 353 부록 특성, 532 접근성 주기, 370 관련 장소, 385 이용대상자 특성, 386 창작자/기여자 특성, 388 창작기간, 688 주제명부출표목-구체화되지 않은 개체의 유형, 884 변환정보, 885 매칭정보를 위해 필드를 추가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KORMARC-통합서지용 개정 및 국내 도서관의 표준 서지데이터 구축 및 활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MARC-bibliographic format reflecting cataloging trends after LRM us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MARC 21 discussion papers, and comparison of the fields in MARC 21 and KORMARC. The acceptance and consideration of fields and sub-fields that need to be revised in KORMARC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RM / RDA, fields 381 or 387 for the representative expression, field 881 and the change and addition of its sub-fields for the manifestation statement, and data provenance code to ▾7 sub-field for date provenance may be considered. Second, in terms of Linked Data, ▾1 sub-field for RWO, and field 758 for related work identifier can be added. Third, for the data exchange of KORMARC and BIBFRAME, it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mapping with BIBFRAME classes and attributes in KORMARC. Fourth, additional fields such as 251 version information, 334 mode of issuance, 335 expansion plan, 341 accessibility content, 348 format of notated music, 353 supplementary content characteristics, 532 accessibility note, 370 associated place, 385 audience characteristics, 386 creator/contributor characteristics, 388 time period of creation, 688 subject added entry-type of entity unspecified, 884 description conversion information, 885 matching information could be developed. This study will be used to revise KORMARC-bibliographic format and to build and utilize bibliographic data in domestic libraries.

김영은(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지홍(연세대학교) pp.47-70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0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조직관리적 요인, 관계적 요인, 개인적 요인이 지식공유의도와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26건의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관리적 요인 중 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은 암묵지 공유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평가보상제도는 암묵지 공유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요인 중 직무 스트레스는 암묵지 및 형식지 공유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관리자의 노력으로 지식공유 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전 직원 대상의 기록관리 교육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 중 하나인 인식 개선과 박탈감을 계속해서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기록학 분야에서 아직 연구된 바 없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지식공유를 주제로 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처한 업무적 문제에 대한 해소 방안으로서 현재의 인력 배치 구조를 활용하여 지식공유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factors(organization managerial factors, relation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f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A total of 126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agers’ interests and suppor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aci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ut evalu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taci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Second,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knowledge sharing(tacit, explicit). It is required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can freely participate i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with the interest and support of managers. In additio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improving the causes of one of the causes of job stress, such as awareness improvement and deprivation,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records management training for all employe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knowledge sharing as a solution to the managerial problems faced by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by utilizing the current staffing structure.

채희라(중앙대학교) ; 김유승(중앙대학교) pp.71-9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071
초록보기
초록

작은도서관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해 온 반면 인력 부재와 운영 부실 등 질적 성장에 대한 부분이 문제점으로 줄곧 지적되어왔다. 이에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연계와 협력 기반 구축을 목표로 2010년부터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사업이 추진되었고,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 부재와 운영 부실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고, 순회사서의 열악한 처우와 직무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순회사서가 경험하는 작은도서관의 문제점과 직무상 문제 상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순회사서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과 순회사서에 대해 알아보고, 순회사서와 작은도서관과 관련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자료 분석을 통해 ‘업무권한 부족’, ‘업무 매뉴얼 부재’, ‘소통, 커뮤니티 부재’, ‘통합 운영 체계 미비’, ‘열악한 처우 및 근무환경’, ‘업무 환경 미비’, ‘악성 이용자’, ‘소속감 부재로 인한 고립감’ 등 총 17개 의미 주제를 추출하였고, 이를 업무, 조직, 환경, 정서, 사회, 제도 등 6가지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순회사서의 직무 권한 및 기준 규정 정비, 커뮤니티 조직 구축, 고용안정성 보장, 직무교육 강화 등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While small libraries have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parts of qualitative growth such as lack of manpower and poor operation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Accordingly,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linkage and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the small library itinerant librarians project has been promoted since 2010, and its scale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However, the lack of manpower and poor operation still remain tasks to be solved, and the poor treatment and job environment of itinerant librarians have not improv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of small libraries and job problems experienced by itinerant librarian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of itinerant librarians based on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mall libraries and net companies were investiga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related to itinerant librarians and small libraries. Through interview data analysis, a total of 17 meaning topics were extracted, including ‘lack of work authority’, ‘lack of work manual’, ‘lack of communication, community’, ‘lack of integrated operating system’, ‘poo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malicious user’, and ‘lack of belonging’. Based on this, four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job authority and standard regulations of itinerant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organization, job security guarantees, and job education reinforcement.

이진화(진주제일중학교) ; 강은영(신라대학교) pp.95-12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09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부산․울산․경남지역 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청소년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다음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과 부산광역시 도서관포털에 등록된 부산․울산․경남지역 공공도서관 93개관을 대상으로 청소년서비스 현황과 청소년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부산․울산․경남 지역 공공도서관에 청소년 공간이 있는 곳이 24%이며, 공간이 있는 경우 공간 내부에 청소년 서가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76%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대상의 연령대는 만13~18세로 설정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저조한 이용과 소극적인 참여, 전용 공간의 부족,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력 부족, 예산 부족 등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제공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사서들이 청소년 전용 공간과 청소년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공간조성과 서비스 기획/운영 단계에서 청소년의 참여 확대, 청소년 전용 공간 조성, 청소년 봉사활동 내용의 다양화, 담당사서의 전문성 확보와 지역인적자원 활용, 서비스에 대한 홍보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young adult services centering on public librari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identify problems, and then suggest tasks for service revitalization. The status of young adult services and librarians’ perceptions in the 93 public librari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that were registered in the 2021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the Busan Metropolitan City Library Portal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24% of public libraries have a space for young adult, and if there is dedicated space, it was found that the most number of bookshelves for young adult were installed inside the space. Libraries that provide young adult services accounted for 76% of the total, and the age range of the service targets was set between 13 and 18 years of age. The analysis revealed that it was difficult to provide services due to a combination of problems such as poor use and passive participation by young adult, lack of dedicated space, lack of manpower for program operation, and lack of budget. Nevertheless, most librarians agreed on the need to provide young adult-only spaces and young adult services. The tasks to revitalize young adult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expand young adult participation in the space creation and service planning/operation stage, create a space dedicated to young adult, diversify the contents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librarian in charge, human resource utilization, and expand public relations for services.

노영희(건국대학교) ; 왕동호(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pp.123-13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ScienceON의 MZ세대 맞춤형 포털로서의 개선을 위해 MZ세대의 정보 포털 이용 특징 및 ScienceON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여 ScienceON의 개선방안 도출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ScienceON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M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cienceON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cienceON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익숙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MZ세대를 위해 MZ세대와 친숙해지기 위한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둘째, 직관적 메뉴 배치 및 간편한 정보 제공 등 포털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디자인 및 UI의 개선과 ScienceON이 제공하는 기능의 재정비 등 다양한 방면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SNS 및 유튜브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여 ScienceON의 확산을 도모해야 한다. MZ세대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향후 MZ세대의 특징 및 수요에 대한 분석 연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이번 연구는 MZ세대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MZ세대의 정보검색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ScienceON as a customized portal for MZ gen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s use of information portals and the demand for ScienceON to derive ways to improve Science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Generation MZ who had experience using ScienceON,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cienceON was derived. The ScienceON improvement plan propo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rive a plan to be familiar with the MZ generation for the MZ generation seeking familiarity and conven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rtal, such as arranging intuitive menus and providing convenient information, and various ways such as improving design and UI and reorganizing functions provided by ScienceON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pread of Science ON by providing content through various platforms such as SNS and YouTube. In the future, as interest in the MZ generation continues to increase, analysi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the MZ generation are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MZ gener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demand for information search and services of MZ generation.

유사라(서울여자대학교) pp.139-16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5G 신기술에 가장 민감한 세대의 윤리 행태를 권장하는 일환으로 미래 정보전문가를 희망하는 주체를 위한 윤리 리터러시(Ethics-Literacy) 교육과정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의 핵심 주제인 5G 특성, 리터러시, 윤리 쟁점, 6C 역량기반 교육, 이용자 경험 등을 주제어로 최근 5년 이내(2022-2017) 출간된 국내외 학술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내용분석으로 최종 8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 연구가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가 제시하는 것은 첫째, 기존의 리터러시는 5G 환경에 대응된 네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둘째, 분석된 윤리 쟁점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에서 보이는 공통 쟁점과 각 리터러시 영역별 특수 쟁점으로 비교 구분되었다. 분석된 결과와 4차 산업혁명 교육방식으로 제시된 6C 역량기반 교육을 바탕으로 대학 차원의 5G 정보환경 정보전문가를 위한 윤리 리터러시 교육과정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Ethical Issues increase when people engage in smart technological systems such as 5G, IoT, Cloud computing services and AI applications. Range of this research is comparison of various literacy concepts and its ethical issues in considering of 5G features and UX. 86 research papers and reports which have been published within the recent 5 years (2017-2022), relating the research subject,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wo results show that various literacies can be grouped into four areas and that some of common issues among those areas as well as unique issues of each area are identifie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Ethics-Literacy is presented and the model of ethics-literacy curriculum supporting ethical behavior of 5G information professionals is developed and suggested.

조현철(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송민(연세대학교) pp.167-19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167
초록보기
초록

융합 과학 연구가 활성화되며 인문학에서도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가 장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 데이터에 텍스트마이닝과 개체계량학 연구 방법을 적용한 시론(試論)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징비록(懲毖錄)을 활용하였으며, 사료(史料)에서 주제 변화와 공통 개체를 탐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과 DMR 토픽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계량 분석의 활용 가능성 확인, 특정 주제의 시기적 변화, 인물 개체 간 미발견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Abstract

Convergence science research is activated, and digital humanities research is also encouraged in humanit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experimental study that applies Text mining and Entitymetrics methods to historical materials. Annals of King Seonjo, revised Annals of King Seonjo, Miscellaneous Record of the War and Writings on Imjin War were used, also network analysis and DMR topic models were used to explore topic changes and common entities in historical sources. Through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propose the availability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text data, presenting a timing change of a specific topic, and an undiscovered relationship between person entities.

장수현(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 박상욱(중앙대학교) pp.199-23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앞선 고려사항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NCS 직무 단위 및 사서 자격 기준과 관련된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등을 검토하였다. 둘째, 2021년 기준 전국 문헌정보학 개설 교과목을 조사 및 분석해 현황을 알아보았다. 셋째, 사서 및 정보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인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21년에 개설된 문헌정보학과 교과목 중 가장 교과목 수가 높은 분야는 ‘정보서비스’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도출된 키워드는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학년별 최우선 요구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현장의 사서 및 정보전문가의 의견을 설문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 결과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단순한 표준화뿐만이 아닌 다양한 이용계층을 포괄할 수 있는 특성화된 교과목의 운영이 병행해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nsideration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t secures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curriculum nationally. To this end, firs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notification related to NCS job units and librarian qualification standard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reviewed. Second, The current statu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urses open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ationwide. Third, surveys and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librarians and information experts.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opened in 2021, the field with the highest number of subjects was “information servi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frequently derived keyword was “information.”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IPA analysis and Borich demand analysis, and the top priority required subjects for each grad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pinions of librarians and information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surveys and focus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in standardization but also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subjects that can cover various users.

김혜미(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수정(전북대학교) pp.233-258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2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로써 그림책을 탐색하고자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접근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DLS(Digital Library System)의 접근점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7개 도서관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접근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2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그림책의 접근점은 주제, 학년/연령, 내용, 교과/단원, 범교과학습주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접근점을 DLS의 목록레코드에서 제공하고, 통제어휘집을 개발하고, 시스템의 기능이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그림책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for access points when searching for picture books to be used as teaching media, and suggest ways to improve DLS(Digital Library System) in school librar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access points provided by OPAC(Online Public Access Catalog) systems in seve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In addition, it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total of 220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most needed access points were topic, grade/age, content, subject/chapter, and cross-curricula learning topics, etc.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the most needed access points in DLS, developing controlled vocabulary tools, and improving system functions or the interface to enhance accessibility to picture books.

윤정원(전북대학교) pp.259-2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2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웹 검색엔진을 사용한 정보검색행위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15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3가지 검색 태스크에 포함된 6개의 검색질문에 대한 답을 찾도록 하였으며, 각 태스크 별로 사전 설문지 작성, 검색 수행, 사후 설문지 작성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검색 태스크의 특성에 따라 검색성과와 검색행동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유창성이 높은 참가자들의 검색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검색주제에 관한 사전지식이 검색성과에 항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와 링크를 통하여 웹사이트를 탐색해서 답을 찾는 태스크의 경우, 정답이 포함된 웹페이지 앞에서도 정답을 간과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또한 오답을 찾고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국내의 외국인 거주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원어민들이 탐색하기에 용이한 웹사이트를 디자인하고 양방향 소통 수단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nternational students’ web search behaviors. During the experiment, fifteen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sked to conduct three search tasks which includes six search ques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earch task, there were differences in search performance and search behavior. It was commonly found that participants with higher Korean fluency showed higher search performance; however, prior knowledge about the search topic did not always affect the search performance. In the search tasks that required navigation through menus and links within one web domain, participants often overlooked the correct answers, even if they were at the webpages containing the correct answer. Also, some participants did not realized that they found wrong answers. For enhanc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mong foreigners in Korea,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1) to design websites which are easy for non-native speakers to navigate, and 2) to use social media as a means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이정연(중부대학교) pp.279-299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2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에 있는 장애 아동․청소년들의 독서 및 도서관 이용과 요구사항을 파악해 보고 국립장애인도서관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서관정책의 개선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대체자료 제작 및 대체자료통합목록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정책과는 다르게 장애 아동․청소년은 주로 종이책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80%가 도서관을 거의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도서관 중심의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장애영역과 학령별 장서 큐레이션을 통한 독서문화 향유 기반 구축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멀티미디어 장서의 국제표준화 개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과의 협력, 특수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장서, 예산 확충을 기반으로 일반학교 특수학급 장애 학생들과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reading and library use and requirement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 ag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in library policy, centered on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Unlike the library policy centered on the cre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ataloging system for alternative materials,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mainly use paper books, and 80% of them hardly use the library. This study established a system centered on the special school library and propos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njoying reading culture through curation of books by disability type and developmental age.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multimedia collections,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and the expansion of librarian, collections, and budgets of special school libraries, linkage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of general schools was suggested.

박형주(충남대학교) pp.301-319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301
초록보기
초록

최근 수십 년 동안 데이터 집약적인 연구 환경에서, 데이터 중심의 연구의 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재단의 데이터 관리 정책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연구데이터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데 있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사서는 데이터 관리 지침, 데이터 큐레이션,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교육 및 훈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사서는 데이터 서비스에서 전문가의 역할을 맡기 시작했다. 하지만, 데이터사서라는 새로운 전문직의 역할과 핵심 역량은 아직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데이터사서에 대한 핵심 역량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 구직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파악하고자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등록된 95개의 온라인 구인 광고를 바탕으로 채용 정보를 분석했다.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은 기술,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 관계, 교육/컨설팅, 서비스, 메타데이터, 도서관 경영, 데이터 큐레이션이었다. 기술 역량은 통계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활용 역량이 중요했다.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과 구직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 과정 개발 및 개정에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In recent decades, research became more data-intensive in the fast-paced information environment. Researchers are facing new challenges in managing their research data due to the increasing volume of data-driven research and the policies of major funding agencies. Information professionals have begun to offer various data support services such as training, instruction, data curation, data management planning and data visualization. However, the emerging field of data librarians, including specific roles and competencies,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even though librarians are taking on new roles in data ser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dentify a set of competencies for data librarians in this growing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varying core competencies for data librarians.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s 95 online recruiting advertisements regarding data librarians posted between 2017 and 2021. This study finds core competencies for data librarians that include skills in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raining/consulting, service, library management, metadata knowledge and knowledge of data curation. Specific core technology skills include knowledge of statistical software and computer programm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core competencies for data librarians to help future information professionals prepare their competencies as data librarians and the instructors who develop and revise curriculum and course materials.

지윤재(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학술정보팀)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pp.321-34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3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파일관리 행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학의 디지털 파일관리 서비스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객체 생애주기를 정의하고 디지털 파일관리 단계에 따라 대학의 학부생 154명을 대상으로 파일의 생성, 저장, 명칭부여, 구조화, 백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학, 예술, 사회, 인문의 전공계열별 각 2명씩, 모두 8명에 대해서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저장매체로 PC를, 백업매체로는 USB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자신만의 파일 명칭부여와 파일 구조화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대학에서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지원하는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디지털 파일관리 행태를 반영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services and policies for digital file management in universities by identifying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file management behavior. The research defined the Life Cycle of Digital Objects. In addition,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154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an online survey on their file Creation, Storing, Naming, Organizing, and Backup based on the Digital File Management Workflow. Al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8 students, two for each major in engineering, arts,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mostly used personal computers as storage media and USB drive as backup media and had their own file Naming and Organizing methods. Furthermore, students’ satisfaction with digital file management was high when universities supported software and cloud stora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services reflecting the students’ digital file management behavior.

안병군(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고영만(성균관대학교) pp.345-369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3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와 연구논문을 연계할 수 있는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문학 분야 연구자의 관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유형화를 진행하고 이를 일반적인 연구논문의 의미구조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추가될 요소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문학 분야 연구논문의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였으며 해당 메타데이터가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의 메타데이터로서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문학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인문학 분야 연구논문의 의미구조를 기반으로 도출된 17개의 메타데이터 요소 중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 메타데이터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요소는 7개이며, 그 외 10개 요소는 사용 가능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 의미구조기반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etadata set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humanities field research articles for research data that can associate research data and research articles. To understand the interest of Humanities researchers, keywords of research articles were categorized. By proceeding the keywords classification and analyzing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general research papers, additional elements to be added were identified f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field. Based on it, 17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research papers in the humanities field was determined.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 metadata is appropriate as a metadata for research data in the humanities fiel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earchers in the humanities field. As a result of the survey, 7 elements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use as metadata for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10 other elements were identified as usable elements. Drawing on the survey results, the metadata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humanities field research articles for research data was constructed.

노지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노영희(건국대학교) pp.371-40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371
초록보기
초록

블록체인이 위․변조가 불가능한 분산 환경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는 사서들이 권위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공유하는 일과 유사하다고 언급된다. 과잉정보 속 도서관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제공하고, 나아가 도서관 내외부의 업무효율성 증대, 협력 네트워크 강화 등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타 분야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도서관계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블록체인 활용분야와 사례를 분석하여 도서관 분야의 블록체인 활용 가능성 및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12가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업무 분야에서는 디지털 신원 기반의 도서관 통합 인증 서비스, 도서관 유․무형 자산 이동의 모니터링 기능, 도서관 이용자 의견수렴 기능, 블록체인 기반 도서관 채용․인사시스템, 블록체인 거버넌스 기반 도서관 운영 체계 및 네트워크 구축, 도서관 내 IoT 디바이스 및 센서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안하였다. 정보서비스 측면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출판․거래 플랫폼 참여,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및 관리 기능, 이용자 행동 분석 기반 맞춤형 서비스, 도서관의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공유플랫폼 기능, P2P 기반의 정보플랫폼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f the blockchain means storing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that cannot be forged or altered, it is mentioned that this is similar to what librarians collect, preserve, and share authoritative information.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d blockchain technology as a way to collect and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increase work efficiency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and strengthen cooperative network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various ways to utilize blockchain technology in book relations based on literature surveys and case studies in other field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field and cases of blockchain application to confirm the possibility and value of blockchain application in the library field, and proposed 12 ways to utilize it based on this. The utilization model was proposed by dividing it into operation and service sectors. In the operation sector, it is a digital identity-based user record storage and authentication function, transparent management and traceable monitoring function, voting-based personnel and recruitment system, blockchain governance-based network efficiency function, and blockchain-based next-generation devi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integration function. The service sector includes improved book purchase and sharing efficiency due to simplification of intermediaries, digital content copyright protection and management functions, customized service provision based on customer behavior analysis, blockchain-based online learning platforms, sharing platforms, and P2P-based reliable information sharing platforms.

전경선(숙명여자대학교) ; 신동희(숙명여자대학교) pp.403-42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4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양평군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평군 지역특성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양평군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운영 현황 및 한계점, 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은 도서관 접근성 취약, 인력 및 장서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 도서관 공간 부족 및 건물의 노후화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서관 건립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and revitalize public libraries’ operations to reflect the Yangpyeong-gun community’s characteristics. To this end, the Yangpyeong-gun region’s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state of public library operation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Yangpyeong-gun residents (library users and nonusers).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ibrary’s operating status and limitations and librarians’ perceptions of library revitalization pla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Yangpyeong-gun, improvement points such as library operation improvement and library accessibility improvement reflecting local community changes such as urban development, population change, manpower and collections expansion, complex cultural space strengthening,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user services were derived.

임여주(부산대학교) pp.425-45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4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 출판된 어린이․청소년 성교육 도서 중 가장 널리 읽히는 도서 77권을 선정하여 도서가 포함하는 주제와 표현 방식, 주요 대상 독자의 특성, 저자의 직업 등 다양한 기준을 바탕으로 성교육 도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유네스코 국제 성교육 가이드 2018 개정판에 제시된 주제 중 분석 대상 도서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어린이․청소년이 자신의 감정과 몸에 관해 알고자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며 책을 통해 스스로 배워나갈 수 있다는 이야기였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존중, 성 및 재생산과 관련된 기관에 관한 지식, 난자와 정자, 월경 주기, 호르몬의 역할 등도 자주 등장하는 주제였다. 가장 언급되지 않은 주제는 HIV와 AIDS, 젠더 기반 폭력에 관한 내용이었다. 전체 도서의 63.5%가 줄글책이었으며, 그림책과 만화책, 사진 삽화 그림책 등의 형식도 있었다. 2019년을 기점으로 특정 성별의 독자를 염두에 둔 책의 출판이 활발해졌으며, 성교육 도서를 집필하는 저자의 직업군도 다양해졌다. 모든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신을 충분히 탐색하고 성장할 수 있게 도우면서, 동시에 타인을 깊이 이해하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성교육 도서의 역할과 범위에 대해 더 많은 고민과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77 most popular sexuality education book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various criteria, including subject matters, format, implied readers, and author’s occupational background. Among the key topics of the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developed by UNESCO, the most mentioned was that it is natural to have curiosity on one’s own feelings and body and that sex education books can help them learn about them. Respect on one’s own body, knowledge of sexual and reproductive organs, eggs and sperms, menstrual cycle, effect of hormones were also easily found topics from the books. The least mentioned topics were HIV/AIDS and Gender-based violence. 63.5% of the analyzed books were books with/without illustrations. Other formats include picture books, comic books, and photo-illustrated books. Publication of books aimed for particular gender started to increase from 2019. Diversity of authors’ occupation were also shown starting 2019.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sex education books is crucial to help all children and young adults develop their own sexuality and understand that of other people, and ultimately to live in a harmonious society.

이성숙(충남대학교) pp.455-4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45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RDA에 대한 인지 여부와 감정, 친숙도, 이해, 도입, 장애요인, 교육에 관한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4년제 대학도서관 정리 사서 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67.1%의 사서가 RDA를 들어본 적이 있었고, 인지 수단은 학교 수업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RDA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이었고,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RDA 자체와 FRAD에 대해 더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이해한다고 인식하였고, 특히 전거와 인코딩을 더 이해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RDA 도입에 대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지만, 문항 중 ‘RDA가 AACR2를 대체한다’는 것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도입의 저해요인을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관련 교육 부족을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사서들은 RDA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Toolkit의 사용, RDA 레코드 변경, RDA와 AACR2의 차이, RDA와 MARC 21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RDA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DA by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emotions, familiarity, understanding, introduction, obstacles, and education, and to secure basic data to improve awareness.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of 76 librarians in 4-year university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67.1% of librarians had listened to RDA, and school classes were the highest at 51.0% of cognitive means. Second, librarians perceived that they were more positive emotions than negative emotions about RDA, and that they were not familiar with RDA-related principles or concepts. In particular, it was recognized that the RDA itself and FRAD were not more familiar. The librarian recognized that they understood RDA-related principles or concepts at a normal level, and in particular, recognized that they did not further understand the authority and encoding. Third, librarians recognized the introduction of RDA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usual, but among the questions, ‘RDA replaces AACR2’ was recognized at a normal level. The librarian recognized the obstacles to the introduction of RDA at a higher level than usual, and in particular, the lack of education related to RDA was highly recognized. Fourth, librarians recognized the need for RDA-related education at a high level, especially the use of RDA Toolkit, changes in RDA records, differences between RDA and AACR2, and the need for RDA and MARC21-related educ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to improve librarian awareness of RDA was proposed.

윤현수(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pp.479-49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4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이용자를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과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공공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38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이용자의 삶의 질과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quality of cultural program services, ‘Libraries on the Road’ influences users’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loyalty to the cultural program servic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users who had participated in ‘Library on the Road’ of public libraries, and collected 138 valid data.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of ‘Library on the Road’, the higher users’ satisfaction. Users’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users’ quality of life and loyalty to the services. The study extended the literature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a particular cultural program that public libraries had provided, users’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loyalty to the cultural program.

김성희(중앙대학교) ; 이승민(중앙대학교) pp.499-519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4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와 이용자 모두 콘텐츠가 미래 공공도서관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은 사서에 비해 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래 공공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신 정보기술의 도입은 미래 공공도서관에서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정보기술의 도입보다는 콘텐츠의 이용이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경로와 도구의 마련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users and librarians perceiv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future public library through a survey and suggested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future libr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librarians and users aware that contents were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the operation of future public libraries. In addition, users perceiv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rvices higher than librarians, which shows that future public libraries require to develop and offer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In contrast, the adop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showed relatively low awareness of its importance in future public libraries. Therefore, the use of content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channels and tools to satisfy information needs were perceiv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