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RDA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on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2, v.33 no.1, pp.455-4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455
이성숙(Sung Sook Lee ) (충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RDA에 대한 인지 여부와 감정, 친숙도, 이해, 도입, 장애요인, 교육에 관한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4년제 대학도서관 정리 사서 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67.1%의 사서가 RDA를 들어본 적이 있었고, 인지 수단은 학교 수업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RDA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이었고,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RDA 자체와 FRAD에 대해 더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이해한다고 인식하였고, 특히 전거와 인코딩을 더 이해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RDA 도입에 대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지만, 문항 중 ‘RDA가 AACR2를 대체한다’는 것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도입의 저해요인을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관련 교육 부족을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사서들은 RDA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Toolkit의 사용, RDA 레코드 변경, RDA와 AACR2의 차이, RDA와 MARC 21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RDA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자원의 기술과 접근, 목록규칙, 한국목록규칙, 영미목록규칙,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RDA, Cataloging rules, KCR, AACR, University Librarians’ Percep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DA by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emotions, familiarity, understanding, introduction, obstacles, and education, and to secure basic data to improve awareness.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of 76 librarians in 4-year university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67.1% of librarians had listened to RDA, and school classes were the highest at 51.0% of cognitive means. Second, librarians perceived that they were more positive emotions than negative emotions about RDA, and that they were not familiar with RDA-related principles or concepts. In particular, it was recognized that the RDA itself and FRAD were not more familiar. The librarian recognized that they understood RDA-related principles or concepts at a normal level, and in particular, recognized that they did not further understand the authority and encoding. Third, librarians recognized the introduction of RDA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usual, but among the questions, ‘RDA replaces AACR2’ was recognized at a normal level. The librarian recognized the obstacles to the introduction of RDA at a higher level than usual, and in particular, the lack of education related to RDA was highly recognized. Fourth, librarians recognized the need for RDA-related education at a high level, especially the use of RDA Toolkit, changes in RDA records, differences between RDA and AACR2, and the need for RDA and MARC21-related educ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to improve librarian awareness of RDA was proposed.

keywords
자원의 기술과 접근, 목록규칙, 한국목록규칙, 영미목록규칙,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RDA, Cataloging rules, KCR, AACR, University Librarians’ Percep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2-23
수정일Revised Date
2022-02-2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3-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