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스마트디지털 환경 기반 도서관 구축에 관한 사서 인식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Awareness of Construction of Libraries Based on Smart-Digital Environment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1, v.32 no.1, pp.5-3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1.32.1.005
강필수(Pil Soo Kang) (㈜채움씨앤아이)
노영희(Younghee Noh) (건국대학교)
김윤정(Yoon Jeong Kim)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디지털 환경에서 공공도서관 이용편의성을 제고하고 이용자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서비스 스마트화 추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디지털자료 업무 담당자 및 사서를 대상으로 디지털자료 활성화 방안과 스마트도서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 도서관 도입은 정보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우선 시행하고,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이 높은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지역 공공도서관으로 확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 도서관 도입의 핵심 성공요인은 단말기로부터 자유로운 콘텐츠와 이러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 전산 장비의 업그레이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말기는 스마트폰 등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활용하지만 개방형 와이파이 등 이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업그레이드와 5G의 도입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스마트 도서관 도입 시 적용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기술로는 이미 일반화된 전자태그(RFID)와 더불어 빅데이터 기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지역 공공도서관 관계자들의 관심이 높은 사물인터넷(IoT) 기술 도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스마트도서관, 디지털환경, 디지털이용자, 정보기술, Public Library, Smart Library, Digital Environment, Digital use, Information technology

Abstract

This Study seeks for a plan for promotion of smartification of digital services for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and user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smart digital environment. Thus, in this Study, a survey on awareness of a plan for revitalization of digital data and smart libraries has been conducted for the persons in charge of digital data and librarians from public libraries. The result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smart libraries was effective by first implementing them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ith high interest in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reading them to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and special autonomous cities; second, it is analyzed that the essential factor of success in introduction of smart libraries is the contents free from the terminals and the upgrade of computer equipment of users available for the use of these services. Terminals are to be individually utilized by smartphone users but it is necessary for upgrade and introduction of 5G which can secure the mobility of users including open type Wi-Fi; third, it is discovered that the information technology the applicability of which is expected to be easy while introducing smart libraries is RFID, which has been already generalized, and bigtata technology. The introduction of IoT technology in which the stakeholders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and special self-governing cities must be considered first.

keywords
공공도서관, 스마트도서관, 디지털환경, 디지털이용자, 정보기술, Public Library, Smart Library, Digital Environment, Digital use, Information technolog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02-22
수정일Revised Date
2021-03-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03-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