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요국 국가서지 현황조사를 통한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 분석

Current Trends for National Bibl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National Bibliograph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1, v.32 no.1, pp.35-5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1.32.1.035
이미화(Mihwa Lee) (공주대학교/공주대학교 학교도서관연구소)
이지원(Ji-Won Lee) (대구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을 분석하고자 문헌연구, 홈페이지분석, 사서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 국가 출판물의 기록이라는 국가서지의 정의에 부합하기 위해서 국가서지에 인쇄에서 전자자원까지 다양한 자료가 수록되도록 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자료가 포함될 수 없으므로 제외사항이 있었다. 보편적인 국가서지 선정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고, 분석을 바탕으로 한 타당하고 포괄적인 수록범위를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서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출판사 및 도서관 등과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서지 생성의 효율성을 위해 표준화 및 일관성, 디지털 자원에 대한 컬렉션 단위 메타데이터 기술, 링크드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서지 생성 등과 같이 국가서지 발행 및 생성에서 변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서지는 국가서지 온라인 검색 시스템, 링크드데이터 검색, PDF, OAI-PMH, SRU, Z39.50을 이용한 MARC 다운로드, RDF/XML 형식의 대량 다운로드 형태 등으로 발행되고 있고, 온라인목록과 통합되거나 별도로 구축되기도 한다. 다만, 국가서지와 온라인목록은 통합 도서관 시스템을 이용해 데이터 재사용 방식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서지를 위한 차별화된 기능으로 다양한 브라우징 기능과 함께 이용자 태깅, 국가서지 통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국가서지 빅데이터 분석, 전자 출판물과의 링크, 링크드데이터의 대량 다운로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한 개방 서비스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 및 고려사항을 통해 국내 및 국외 국가서지의 발전적 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국가서지, 발행형식, 표준, 온라인목록, 종합목록, 링크드데이터, National Bibliography, format, standard, OPAC, Union catalog, linked data

Abstract

This paper is to grasp the current trends of national bibliographies through analyzing representative national bibliographies us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national bibliographies’ web pages and survey. First, in order to conform to the definition of a national bibliography as a record of a national publication, it attempts to include a variety of materials from print to electronic resources, but in reality it cannot contain all the materials, so there are exceptions. It is impossible to create a general selection guide for national bibliography coverage, and a plan that reflects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prepares a valid and comprehensive coverage based on analysis is needed. Second, cooperation with publishers and libraries is being made to efficiently generate national bibliography. For the efficiency of national bibliography generation, changes should be sought such as the standardization and consistency, the collection level metadata description for digital resources, and the creation of national bibliography using linked data. Third, national bibliography is published through the national bibliographic online search system, linked data search, MARC download using PDF, OAI-PMH, SRU, Z39.50, and mass download in RDF/XML format, and is integrated with the online public access catalog or also built separately. Above all, national bibliographies and online public access catalogs need to be built in a way of data reuse through an integrated library system. Fourth, as a differentiated function for national bibliography, various services such as user tagging and national bibliographic statistics are provided along with various browsing functions. In addition, services of analysis of national bibliographic big data, links to electronic publications, and mass download of linked data should be provided, a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users’ needs and provide open services that reflect them in order to develop differentiated services. Through the current trends and considerations of the national bibliographies analyzed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change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national bibliography.

keywords
국가서지, 발행형식, 표준, 온라인목록, 종합목록, 링크드데이터, National Bibliography, format, standard, OPAC, Union catalog, linked data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02-22
수정일Revised Date
2021-03-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03-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