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Librar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0, v.31 no.4, pp.49-7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4.049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고, 사회적 가치를 입증하고 그리고 투입자원에 대한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그들의 활동을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성과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과평가는 특정 영역 혹은 특정 분석방법에 치중하여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 성과관리 도구 개발을 위해, 도서관 선진 국가들의 공공도서관 성과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았다.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방향성, 평가체계, 주요 성과평가영역 등을 검토·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결과는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관점이 투입-산출위주에서 결과(outcome)혹은 영향(impact)으로 옮겨가고 있었고, 성과평가영역이 공공도서관 발전전략 혹은 도서관의 역할과 연계되어 있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의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구축, 도구개발, 수월성 확보 등을 위해 국가와 기관이 함께 노력하고 있었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평가, 도서관평가모델, 도서관성과평가

Abstract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public libraries need performance measures that can comprehensively represent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changes, demonstrate social value, and justify input resources. However, mos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s have been focused on specific areas or specific analysis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efforts of advanced countries of overseas librarie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tools for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develop performance management tools for domestic public libraries.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direction, evaluation system, and major performance evaluation areas of public library performance evaluation. The main result was that the perspective of public library performance evaluation was shifting from input-output-oriented to outcome or impact,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area was linked to the development strategy of public libraries or the role of the library. And, the government and institutions were working together to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평가, 도서관평가모델, 도서관성과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