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지니계수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자원 격차 연구

A Study on the Gap Between University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 Using Gini Coefficient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0, v.31 no.4, pp.29-4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4.029
조재인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원 (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활용해 대학도서관 간에 나타나는 학술정보자원의 불평등을 지수화함으로써 격차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이러한 격차가 지난 10년간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수도권대학, 지방국립대와 사립대, 전문대 등 대학의 지역/유형별로 동종 대학간에 나타나고 있는 격차의 정도와 특성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대학도서관 학술정보 인프라는 전반적으로 심각한 불균등 수준(g = 0.6-0.9)을 보이고 있으며, 연속간행물, 전자자원, 참고봉사서비스 측면에서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생수를 고려해 재계산한 지니계수도 연속간행물 등에 있어서는 여전히 g = 0.4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지난 10년간의 지니계수 추이를 살펴보면 전자정보자원과 직원의 재교육 시간에서 지니계수가 평등한 쪽으로 하향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다른 항목에 있어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 번째, 특수대학과 수도권 대학간에는 큰 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국립대학간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격차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지니계수, 정보격차, 대학도서관, 학술자원

Abstract

This study uses Gini coefficient to index the inequality of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 among universities to identify the areas where the gap is extremely severe, and analyzes the Gini coefficient over time for 10 years to show how the gap is changing. In additi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p appearing by type of universities such as metropolitan universities, local national universities, private universities, and colleges were also compared. As a result, first, the university library academ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showed a severe level of disparity (0.6 - 0.9), and the inequality was more severe in serials, electronic resources, and reference service. Even when the relative Gini coefficient was calculated considering the number of students, the inequality was over 0.4 in serial etc. Second, the Gini coefficient trend over the last decade shows that the inequality has decreased toward equality in the re-education time of employees and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but not in other se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special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a large gap between universities of the same kind, and local national universities showed the best gap level as well as the best academ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keywords
지니계수, 정보격차, 대학도서관, 학술자원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