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0, v.31 no.3, pp.101-12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3.101
신은자 (세종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keywords
오픈액세스, 골드 오픈액세스, 연구지원기관, 학회, 도서관

Abstract

Plan S is a policy that mandates research papers supported by specific funders such as the European Community be published in open access journals. The funder supports APC to researchers, providing a chance to advance the era of gold open access, and is expect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 scholarly publishing eco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lan S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stakeholder of the scholarly publishing ecosystem, such as funders, academic societies or publishers, authors, and librarie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status of Korean gold open access publishing and position for each stakeholder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hare of publishing gold open access journals in Korea was 22%, which was less than 26% worldwide. Korean funding agencies were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the impact of Plan S. On the other hand, Korean academic societies produce about 70% of all papers, but there are not many open access papers except medicine (51%). The response of the Korean library was not sufficient, and it contrasted with the activities of librarians in the U.S. that actively provide research support services based on the research lifecycle.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libraries should also actively try to change the role of librarians; advising researchers to plan open access publishing in grant project applications, consulting on copyrights, and so on. This study identified the background, principles, and impact of Plan S policy that would be effective in 2021 and examined the response situation in Korea.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served as the necessary basis for revitalizing the academic publishing ecosystem in Korea.

keywords
오픈액세스, 골드 오픈액세스, 연구지원기관, 학회, 도서관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