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용자의 혁신저항이 모바일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of Users on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Application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0, v.31 no.1, pp.5-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1.005
김동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전공 )
이용정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많은 양의 건강 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용 수준이 낮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이용자가 지닌 혁신저항(사용 장벽 정도, 가치 장벽 정도, 위험 장벽 정도, 전통 장벽 정도, 이미지 장벽 정도)이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378개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다. 연구 결과, 이용자의 이미지장벽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 앱에 대한 혁신저항 정도가 높아지며, 혁신저항 정도가 높을수록 지속적 이용의도 정도와 추천의지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장벽 정도, 가치장벽 정도 그리고 전통장벽 정도는 혁신저항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 앱의 이용행태를 혁신저항이론으로 설명함으로써 신기술의 수용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연구 결과는 건강 앱의 수용 및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장벽, 가치장벽 그리고 전통장벽보다는 이미지장벽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keywords
건강 어플리케이션, 건강 정보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대학생, 혁신저항

Abstract

The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auses of the high level of health application but the low level of use.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user's innovation resistance (use barrier, value barrier, risk barrier, traditional barrier, image barrier, etc.)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378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s with college students. Findings indicated the higher the level of image barrier of the user, the higher the degree of innovation resistance for the health application,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ower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recommenda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use barriers, value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innovation resistance, suggesting that users familiar with smartphones have low resistance to health applications. The study deepens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adoption and continuous use of new technologies by explaining the use of health applications in the theor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lowering the image barriers rather than the usage barriers, value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will be effective for the adoption and continuous use of health applications.

keywords
건강 어플리케이션, 건강 정보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대학생, 혁신저항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