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0, v.31 no.1, pp.337-35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1.337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 (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전경선 (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모델, 가이드라인, 사례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practical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Using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eight public library makerspaces across key elements, including space, size, staff, equipment, programs, and budget. This study finds that public library makerspaces should be built according to the library's size, budget, and purpose, and should also employ sustainable operating strategies.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ree models of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develop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e "craft" makerspace at the basic level, the "studio" makerspace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platform" makerspace at the regional level.

keywords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모델, 가이드라인, 사례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