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도서관 맞춤형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stomized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of College Student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9, v.30 no.4, pp.91-1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9.30.4.091
곽우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안인자 (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과 )
장징징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별로 이용자를 분류하고,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관의 정보자원 및 서비스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선호하는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MBTI 성격유형에 맞춰 대학도서관의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MBTI 유형에 따른 자료/정보원 및 서비스 선호도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태도지표 유형별 분석에서 자료형태 선호도와 사분할 유형별 분석에서 디지털콘텐츠 유형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가지 성격유형별 분석에서도 디지털콘텐츠 유형에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에서는 성격유형에 맞는 자료와 디지털콘텐츠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서관에서 이용자에 대한 MBTI 성격유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이용자가 도서관에 참고정보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도서, 정보 등을 요청할 때 형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콘텐츠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MBTI 성격유형검사, 적성검사, 흥미검사,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classify the users by the MBTI personality type and investigate and analyze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of library preferred by personality type. Towards this end, we have surveyed the K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preferred resources and services, and also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ccording to the MBTI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digital contents type in the analysis of the data type preference and the quadrant type through the analysis of attitude index type from validating the difference between data / information source and servic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MBTI type. The analysis of 16 types of personality also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gital contents.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for data and digital contents suitable for personality types in university libraries, it should be preceded by collecting MBTI personality type data for users in the library. After that, when a user requests a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from a library, or requests a book o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orm-specific service or provide a content-specific service.

keywords
MBTI 성격유형검사, 적성검사, 흥미검사,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