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외 병원도서관에서의 환자이용자를 위한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for Patient Users in Overseas Hospital Librar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9, v.30 no.3, pp.195-22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9.30.3.195
이혜영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외 병원도서관 환자대상 건강정보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총 89개의 국외 병원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종합병원, 전문병원, 여성병원, 어린이병원, 재향군인병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89개 병원도서관에서 일반적이면서 공통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으며 다음으로 차별화된 건강정보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국외에서는 병원도서관의 설치와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서, 건강정보전문가, 의학전문사서, 사회복지사, 임상사서, 건강교육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의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셋째, 인쇄자료뿐 만 아니라 전자자료, 웹사이트, 팸플릿, 브로우셔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로도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건강(정보활용)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병원, 지역공공도서관, 지역공동체 등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통한 국내 병원도서관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병원도서관 설치 및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의 전환, 둘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협회의 지원과 계속교육의 필요성, 셋째, 병원도서관에서의 건강정보서비스 의무화 및 다양화를 위한 관련 기관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

keywords
병원(환자)도서관, 의학도서관, 보건(과학)도서관, 환자이용자, 건강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및 기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rom the case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for patients in overseas hospital libraries. A total of 89 overseas hospital libraries were selected, including general hospitals, specialized hospitals, women's hospitals, children's hospitals, and veterans' hospitals.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at is provided in general and common in 89 hospital libraries was surveyed and the differentiat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was investigated next. As a result,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establishment of hospital libraries and the provision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re common outside of Korea. Second, various human resources such as librarians, health information specialists, medical specialists, social workers, clinical librarians,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and volunteers are utilized. Third, it provides not only print materials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sources such as electronic materials, websites, pamphlets, brochures, and provides health information in various languages. Fourth, in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programs,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linkage with hospitals, local public libraries, and local communities.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hospital libra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awar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hospital libraries and the provision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s; second, the support of the curriculum and associations and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related organizations for mandatory and diversification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hospital libraries.

keywords
병원(환자)도서관, 의학도서관, 보건(과학)도서관, 환자이용자, 건강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및 기준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