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외 장소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zing the Study Trends of 'Sense of Plac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9, v.30 no.2, pp.189-20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9.30.2.189
이인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김혜진 ( 국립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주경로 분석(Main Path Analysis, MPA)은 문헌의 인용정보를 기반으로 지식이 전달되는데 기여한 핵심 문헌을 추출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행된 장소성 관련 논문의 인용정보와 초록을 토대로 주경로 분석과 단어동시출현빈도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1990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문헌을 5년씩 기간 구분하여 (마지막 기간은 3년) 각 기간 별로 국내외에서 장소성 관련 연구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주경로 분석 결과, 1990년부터 해외의 장소성 관련 연구는 개인 정체성, 공공 토지 관리, 환경 교육, 도시 개발 분야 순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동시출현을 기반으로 한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국내의 경우 도시 개발, 문화, 문학, 역사 등 다양한 차원에서 장소성이 논의되는 격변기를 겪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반면 국외에서는 건강, 정체성, 경관, 도시 개발 관련 논의가 90년대부터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동향을 기존의 특정 영역에 장소성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미시적 관점의 분석이 아닌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장소성을 주제로 삼고 있는 논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통시적 접근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keywords
연관어 네트워크, 인용분석, 장소성, 주경로 분석, 텍스트마이닝

Abstract

Main Path Analysis (MPA) is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that extracts the core literature that contributes knowledge transfer based on citation information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pplied various text mining techniques to abstract of the paper related with sense-of-place, which is published at Korea and abroad from 1990 to 2018 so that could discuss in a macro perspective. The main path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rom 1990, overseas research on sense-of-place has been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ersonal identity, public land manag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urban development-related areas. Also, by using the network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sense-of-place was discussed at various levels in Korea, including urban development, culture, literature, and history.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few topic changes in international studies, and that discussions on health, identity, landscape and urban development have been going on steadily since the 1990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f grasping the overall flow of relevant research.

keywords
연관어 네트워크, 인용분석, 장소성, 주경로 분석, 텍스트마이닝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