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폐교 사립대학 기록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서남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s of Record Management in Closed Private University: Focused on "Seonam Universit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8, v.29 no.4, pp.203-22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4.203
김민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소정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김유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폐교되는 사립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폐교 후 대학기록물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사립대학 기록관리에 대한 법령 및 지침이 모호하여 기록의 이관과 관리업무 시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폐교 사립대학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기록과 폐지기관에 대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교육통계서비스를 활용해 폐교 사립대학의 현황표를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사례연구 대상으로는 조사된 폐교 사립대학 중 가장 최근에 폐교되었고, 규모가 큰 서남대학교를 선정하여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기록 유실 방지를 위해 폐교 시 사립대학 기록관리 전문요원 배치 의무화이다. 둘째, 폐교 사립대학 지침 모호성을 개선하기 위한 법령 개정해야 한다. 셋째, 폐교 사립대학 기록관리가 소극적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상위기관의 지속적인 협력이 지원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통해 향후 사립대학의 폐교가 진행되었을 때, 폐교 사립대학의 기록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keywords
대학, 고등교육기관, 기록관리, 대학기록물, 폐교기록

Abstract

With the recent increase in private universities being closed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at schools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guidelines for records management at closed private universities are ambiguous, causing confusion in the transfer of records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university records and institution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universities in schools through education statistics services. Among the surveyed private universities, the latest to be closed, and the largest of them was Suh Nam University, which looked at the detail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private schools. The purpose of the interview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d draw up implication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irst,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in this study is to make it mandatory to deploy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at private universities for specialized records management. Second, the law should be revised to improve the ambiguity of private universities' guidelines. Third, continuous support from higher institutions should be ensured so that records management at closed private universities is not passive. This improvement will enable records management at closed private universitie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when the future closure of private universities is carried out.

keywords
대학, 고등교육기관, 기록관리, 대학기록물, 폐교기록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