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저소득계층의 정보불평등 해소를 위한 도서관서비스 관련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Solution of the Information Inequality of the Low-Income People in Korea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8, v.29 no.4, pp.113-13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4.113
안인자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과 )
노영희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로사 (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저소득계층의 개념과 기준 및 유형에 관하여 살펴보고, 사례조사에 의해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한 국내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에게 필요한 새로운 도서관서비스로 저소득계층의 디지털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의 시행과 저소득계층 성인 대상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취업 관련 프로그램 및 독서상담치료서비스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또한 저소득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방안을 5가지로서 (1) 도서관법에서의 저소득계층의 개념과 기준 및 유형에 대한 명확한 규정, (2)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저소득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의 강화, (3) 국가차원의 저소득계층 및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현황조사, (4) 저소득계층의 실제적인 특성 및 정보요구 파악, (5) 저소득계층의 다양한 유형별 맞춤형 도서관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정보취약계층, 저소득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정보불평등, 정보격차, 지식정보격차, 디지털정보격차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relevant literature to review the concept of low-income class, its criteria and types. Based on the cases surveyed, the service status of public libraries for low-income class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posed new library services necessary for low-income clas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relevant programs aimed at resolving the digital information divide of low-income class, the introduction of employment programs for the self-economic-support for low-income class adults, and the introduction of reading and counseling therapy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five policies for activating library services for the low-income class: (1) To revise the act on library law so as to clarify the concept of low-income class, its criteria and types, (2) to revise the master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so as to bolster the library services for low-income class, (3) to conduct a national-level survey of the low-income class status and of the library service status, (4) to determine the actual features of the low-income class and their information demands, and (5) to prepare library services tailored to the diverse types of low-income class.

keywords
정보취약계층, 저소득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정보불평등, 정보격차, 지식정보격차, 디지털정보격차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