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보불평등 대상별 도서관서비스 정책과 서비스 현황 진단

A Study on the Library Policies & Services for the Type of Information Inequality in Korea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8, v.29 no.3, pp.271-29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271
안인자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학과 )
노영희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로사 (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현재 정보불평등계층에 대한 개념과 정의는 국내의 법마다 상이하며 용어 또한 다양하다. 사회의 발전과 국가의 관심에 따라 정보불평등계층은 더 세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분화된 도서관정책과 서비스도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정보격차에 대한 용어, 개념, 법적근거, 디지털정보화수준에 근거한 지수개발, 격차해소정책 및 도서관발전계획상에서의 도서관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인서비스, 다문화서비스, 노인서비스의 정보불평등계층별 도서관서비스 정책 및 서비스 개발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 논문 및 사업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정책개발(법, 제도, 중장기 계획, 선진화계획, 사업 모형개발, 매뉴얼개발, 홍보전략, 평가지 등), 지원기구, 담당인력양성, 협력네트워크, 지원설비, 지원서비스, 지원자료 등 다수의 과정과 업무가 구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정보격차, 정보불평등, 정보취약계층, 정보빈곤층, 정보소외계층

Abstract

Information inequality has been differently conceptualized and defined in national laws. While the information inequality increases, library policy and informational service has lagged behind in meeting the needs of the society and the stat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preliminary research on information inequality,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the legal base, terminology,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The paper also highlights cases on library services for solution of the difference. It compares library services designed for the disabled, ethnic minorities and the aged. The paper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oject data. As a result, there are a number of processes and tasks that needs to be developed, including policy development, supporting organization, human capital, cooperating network, supporting facilities and service, and data.

keywords
정보격차, 정보불평등, 정보취약계층, 정보빈곤층, 정보소외계층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