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아론 (메타브릿지 전략기획팀 ) ; 박지훈( 중국 연변대학 과학기술학원 건축예술학부 ) ; 공순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pp.1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지역대표도서관과 비슷한 위계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본의 도도부현립(都道府縣立)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 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지역대표도서관 건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이 선정한 도도부현립(都道府縣立)도서관 우수 선진 사례 도서관 8개 관을 방문하여 상호협력 체계와 상호협력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그 중 5개 관을 선정하여 도면분석을 통한 공간구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도부현립(都道府縣立)도서관은 일본의 지역대표도서관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전국구 단위에서 국립 국회도서관뿐만 아니라 인근의 지역대표도서관과도 상호협력을 시행하며 범국가적인 상호협력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공간구성에서는 도서관의 역할에 따라 사무영역과 지원영역의 업무관리부문의 구성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공간 구성비를 나타내고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ooperative system of Japanese local libraries (Do-do-bu-ken prefecture) in Japan, which perform similar functions along a similar hierarchy with the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South Korea. I would like to use this analysis as material for my report. For the study, I visited eight distinguished and advanced Japanese local libraries (Do-do-bu-ken prefecture) that had been se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operative system and service. I conducted space planning through plan analysis by selecting five out of the eight librari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Japanese local libraries (Do-do-bu-ken prefecture) accurately recognize the roles and functions as a regional central library of Japan and conduct Cooperative system not only with the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but also with regional central libraries in the whole country. In terms of the space planning, the ratio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task management part of the office area and the support area showed the highest space planning ratio according to role for the library.

유영준 (나사렛대학교 점자문헌정보학과 ) ; 이재윤(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41-6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04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개혁신학과 복음주의, 중립적인 신학적 입장을 가지는 학술지와 색인어, 저자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평균 연결 군집화, 이웃중심성 척도, 프로파일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하여 세 가지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저자 간 관계를 분석할 때에는 저자 사이에 핵심 공유 색인어를 파악해서 연구 주제를 해석하는 새로운 시도를 해보았다. 학술지 분석에서는 9개 학술지가 크게 개혁신학과 복음주의의 두 개 군집으로 나뉘어졌지만, 개혁신학을 지향하는 장로교단 학술지인 장신논단만 복음주의 군집에 속하였다. 두 군집의 색인어 분석에서도 개혁신학과 복음주의가 두 군집을 대표하는 주요어로 나타났다. 저자 분석에서는 9개의 군집이 산출되었다. 이중에서 4개의 군집에는 주로 개혁신학을 연구하는 장로교단 신학자들이 포함되었으며, 5개 군집에는 장로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신학자들이 주로 포함되었다. 따라서 학술지와 색인어, 저자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모두에서 일관되게 개혁신학 군집과 복음주의 군집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journals and index terms, authors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evangelicalism, neutral theological position by using bibliometrical analyzing methods. The analyzing methods are average linkage and neighbor centralities, profile cosine similarities. Especially,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s, we interpreted the research topic by finding the key shared index terms between the authors. In the journal analysis results, 9 journals were largely clustered together in the two clusters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evangelicalism, but Presbyterian Theological Quarterly that is thought to be a reformed journal was clustered in evangelical cluster. In the index terms analysis results of the clusters, the reformed theology and evangelicalism were key words representing the two clusters. In the authors' analysis results, we had 9 clusters and the Presbyterian theologian studying the reformed theology had the four clusters and the non-Presbyterian theologian had the 5 clusters. Therefore, we consistently had the two clusters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evangelicalism in all the analysis of the journals and the index terms, the authors.

유경종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정보개발과 ) ; 박일종(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65-8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0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설환경, 장서, 서비스, 도서관홈페이지 등에 대한 만족도를 한국사회과학데이터연구원에서 제공하는 KSD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회수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ANOVA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검정하였고, 설문문항 내 변인간 상관관계의 정도를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 남녀의 성별 분석에서 설문조사 참여율도 여학생이 높고, 만족도도 여학생이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남자대학생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2) 그룹별 만족도에서 자료이용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설환경 부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평균분석에서도 지리적 접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용자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특별 대책이 필요하다. (3) 또한 상관관계 분석에서 이용자서비스 그룹과 시설환경 그룹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용자서비스를 계획할 때 반드시 시설환경 부분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이용자가 건의한 의견을 분석한 발전방안도 제시되어있다.

Abstract

The user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facilities, collection, library services including webpage, etc. by using KSDC program provided by Korea Social Science Data Center has been analysed in this study. Also, the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P-academic library on December 2017 were sampl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ANOVA etc. were used for testing wether gender, academic level and major of students affect the satisfac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testing the relation among the variables in the attached questionnaire.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1) The policy development for the library use of male undergraduate students is needed. (2) The special counterplan to improve the user accessibility is needed. (3) Also, environmental facilities is absolutely needed when planning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esides, the development plan prepared after analysing the user opinions in essay form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oo.

이명희(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89-10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미디어센터 운영' 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8개 하위영역의 48문항, 문제해결능력은 5단계의 문제해결과정에 근거한 30개 문항으로 측정되었다.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한 결과, 8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 '자기이해'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5단계로 구성된 문제해결능력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층면담이 과목 수강의 어려움, 수업 내용, 과제의 적절성, 평가방법의 타당성, 팀원과의 관계, 과제 수행 후 유익성에 대하여 이루어졌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taking the 'Media Center Management' course in Library Information Science (LIS). During this study, two tests measur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conducted, containing 48 items divided into 8 categories and 30 items divided into 5 steps of problem-solving processes, respectively. By utilizing the correspondence sample T-test during this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all categories of self-directed learning, excluding the 'self-understanding' category.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5 steps problem-solving processes as well. Subsequentl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quiring into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difficulty of attending classes, the content of lectures, the appropriateness of assignment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metho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m members, and the benefits acquired from completing the assignments.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황금숙 (대림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 ; 김수경( 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 ;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pp.111-13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에게 요구되는 독서지도 관련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독서지도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독서지도 담당 사서의 직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서지도 관련 직무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9개의 책무(Duty)와 34개의 작업(Task)을 도출하여 도서관 현장 사서를 대상으로 한 FGI 분석 방법을 통하여 독서지도 전문사서의 직무 정의 및 도출된 직무의 적절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직무분석 결과로 도출된 직무 정의, 책무, 작업의 전반적인 구조는 적절성 수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지도 전문사서에게 추가로 요구되는 책무 6개와 작업 21개가 더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asks of the librarians manning reading guidance at public library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reading instruction required by librarian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study method such as literature study and FGI analysis. As a result, The duty and task for Special Librarians in Reading Guidance was organized with 15 duties and 55 tasks.

변회균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 ; 오복희( 국회도서관 데이터융합분석과) pp.139-15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13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연구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여러 조직에서 발행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식별자를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를 중심으로 융합 관리함으로써 식별자의 중복발행을 방지하고 기관의 연구자 정보의 재정비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자 식별자 통합관리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러 식별자 중에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ISNI의 메타데이터 구조와 관리체계를 살펴보고, ISNI를 중심으로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식별자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체계와 시스템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델은 데이터구조 계층, 플랫폼 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 관리 및 보안계층(4계층)으로 구성되며 주요 기능의 설명 및 통합관리시 고려해야할 이슈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odel of researcher identifiers using the ISNI(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that can prevent duplicate issuance of identifiers and can be used to reorganize the authors' information. We looked at the metadata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ISNI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among identifiers. And we have designed the integrated ID system and system model that can manage the identifiers issued by each institute based on the ISNI. This model consists of data structure layer, platform layer, application layer, management and security layer (4 layers) and we have presented some of the key features and issues to consider when managing the integrations.

주용국(경성대학교 교육학과) ; 이종문(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57-1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 대학교 문과대학(인문, 교육계열) 재학생 457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역량과 진로독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기초역량의 경우 의사소통능력(평균 3.61), 대인관계능력(3.59), 문해력(3.40), 문제해결능력(3.39)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수리력(2.72), 사업가정신(2.89)은 낮았다. 둘째, 진로독서의 경우 65.2%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유로는 '진로에 대한 책을 읽을 시간이 없어서' 46.3%, '진로와 관련해서 읽을 만한 책이 없어서' 25.8%, '진로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없어서' 22.5%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기초역량이 미흡한 학생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는 점, 진로 자료 독서를 하고 있지 않는 학생이 65.2%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여 직업기초역량을 체계화하여 강화할 것과 진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reading for future careers and suggests approaches to solve the identified problems by analyzing the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and reading for a future career. The study included 457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college (humanities and education programs) at "A"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communication ability (average 3.61),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3.59), literacy (3.40) and problem solving ability (3.39) were relatively high in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while numeracy (2.72) and entrepreneurship (2.89) were low. Next, 65.2% of those reported no reading for their future career. 46.3% answered 'no time to read books related to my future career.' 25.8% selected 'no books worth reading related to my future career.' 22.5% said 'no curiosity about my future career.' Considering that those who did not read any materials related to a future career reached 65.2% and a number of students had low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this paper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for standardizing and strengthening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and enhancing understanding of future careers.

박현우(한국도서관협회,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pp.179-20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17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부족한 운영 예산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서관에서의 기부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었던 기부 사례를 분석하였다. 2016년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실시한 출판계 기증도서 보급사업에 참여한 공공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에서의 기부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업에 참여한 결과와 2016년 공공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 기부활동의 결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기부 관련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 기부활동의 한계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donation cases at public libraries, to propose plans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of deficient operation budgets, and to vitalize donations at librari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donation activities at public libraries with a group of staff members in charge at public libra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distribution project of books donated by publishers led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In addition to the outcomes of project particip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in-house donation activities at public libraries in 2016. Furthermore, it looked into previous studies and cases of library donations home and abroad, identifying limit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donation activities at public libraries and proposing plans to overcome them.

소병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 전공, 우신고등학교 ) ;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pp.209-22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독서 활동은 교과 지식과 이원화되어 정규 교과 수업 시간 밖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국어" 정규 수업 시간 내 이뤄지는 독서 활동으로, <읽기-생각나누기-표현하기>를 기본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실재 11종 "국어" 교과서 22개 유형의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 권 읽기는 <도서 정하기-읽기-표현하기>로 실현되었다. 단계별 학교도서관과 협력방안으로, 도서 정하기 단계는 학교도서관을 대상 도서 검색 공간으로 활용하고, 읽기 단계는 독서전략을 추가, 보완해 독서일지를 재구성하며, 표현하기 단계는 기존 독후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권 읽기의 단계별로 협력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Reading a Book per Semester" with the goal of finding ways to collaborate with the school library. "the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s a program that requires students to read during the timetable-designated "Korean" class instead of encouraging students to read outside of class, as has been the case thus far. The program was designed by 3 parts: reading, sharing, and formulating. However, an analysis of 11 Korean textbooks and 22 approaches to the program showed that the model has shifted to <selecting, reading, and formulating>. Under this new model, schools could expand each step in the following ways: utilize the school libraries more as the book search space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include writing a reading diary in the reading process; and further encourage students to read outside of the classrooms in the formulating step. If these amendments were to be applied, they would strengthen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school libraries within schools.

박시윤 (숭문중학교 ) ; 노동조(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229-24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2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중고교 학생들의 인식 및 관심 수준을 알아보고 나아가 그러한 수준에 따른 만족도 및 교육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2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라서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학생이 수행평가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서 지식습득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 기준과 만족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performance evaluation book list, and regarding the correlation analysis of genera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each of the two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 total of 200 people were surveyed for each 50 students in each gender and grade. Research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gender and school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vel of interest in performance evaluation books.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list of performance evaluation books showed that students interested in the list of performance evaluation books spend more time evaluating performance. Thir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vel of awareness in the list of performance evaluation book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cquis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war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criteria and general satisfaction.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곽우정( 지식콘텐츠연구소 ) ; 신영지( 지식콘텐츠연구소) pp.245-27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245
초록보기
초록

연구에서는 문체부 정책과 특화지향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특화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향후 특화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지역 분포, 장서, 시설, 전문 인력,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총 55개의 도서관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시사점 및 정책방향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이 특화주제를 선정할 때는 지역자원, 지역정체성, 지역브랜드, 지역주민의 수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화장서는 특화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특화장서의 비중은 1만권이 넘도록 하되 전체장서에서 특화장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구성도 특화 주제를 고려해야 하며, 특화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이나 유형은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특화도서관에서는 특화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치하야 하며, 특화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서교육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특화도서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유형에는 관람형, 행사형, 강좌형, 참여형, 콘테스트형이 있었는데, 특화주제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서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ctual cases of specialized librari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y and the specialization-oriented social atmosphere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future. In order to do that, the distributions, collections, facilities, professional manpower, programs, and services of the libraries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total of 55 librarie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selecting a specialized subject, the library should consider the local resources, local identity, local brands and demand of local residents. Second,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related to the specialized topic, and the number of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more than 10,000, but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collections compared to the total collec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the design of space should consider the specialized subject, taking into account that required spaces and typ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ecialized subject.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specialists from the specialized area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librarian education institutes seem to be critical for cultivating specialized personnel. Fifth, the program type implemented by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perated from the program types of view-type, event-type, lecture-tepe, experience-type and contest-type, based on the specialized subject.

안인자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학과 )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장로사(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학과) pp.271-29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271
초록보기
초록

현재 정보불평등계층에 대한 개념과 정의는 국내의 법마다 상이하며 용어 또한 다양하다. 사회의 발전과 국가의 관심에 따라 정보불평등계층은 더 세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분화된 도서관정책과 서비스도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정보격차에 대한 용어, 개념, 법적근거, 디지털정보화수준에 근거한 지수개발, 격차해소정책 및 도서관발전계획상에서의 도서관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인서비스, 다문화서비스, 노인서비스의 정보불평등계층별 도서관서비스 정책 및 서비스 개발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 논문 및 사업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정책개발(법, 제도, 중장기 계획, 선진화계획, 사업 모형개발, 매뉴얼개발, 홍보전략, 평가지 등), 지원기구, 담당인력양성, 협력네트워크, 지원설비, 지원서비스, 지원자료 등 다수의 과정과 업무가 구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formation inequality has been differently conceptualized and defined in national laws. While the information inequality increases, library policy and informational service has lagged behind in meeting the needs of the society and the stat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preliminary research on information inequality,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the legal base, terminology,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The paper also highlights cases on library services for solution of the difference. It compares library services designed for the disabled, ethnic minorities and the aged. The paper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oject data. As a result, there are a number of processes and tasks that needs to be developed, including policy development, supporting organization, human capital, cooperating network, supporting facilities and service, and data.

이혜영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97-3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2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미지에 대한 접근 및 검색을 향상시키고, 이미지에 대한 설명 제공 도구로서의 태그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태그를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인 휴먼 태깅과 머신 태깅의 특징을 조사하고 휴먼 태그와 머신 태그의 속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머신 태그는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며, 특정적 속성과 시각적 요소는 일부 나타났고, 추상적 속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휴먼 태그도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나 휴먼 태그 생성자가 명칭을 알 수 있는 객체 및 장면에 대해서는 특정적 속성의 비중이 높았으며, 감정과 정서, 추상적 개념의 주제뿐 아니라 사건, 장소, 시간, 관계 등이 다양한 태그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태그 집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세트를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access and retrieval of images and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generate tags as a tool for providing explanation of images.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human tagging and machine tagging, and compare and analyze them. Machine tags had the highest general attributes, some specific attributes and visual elements, and few abstract attributes. The general attribute of the human tag was the highest, but the specific attribute was high for the object and scene where the human tag constructor can recognize the name. In addition, sentiments and emotions, as well as subjects of abstract concepts, events, places, time, and relationships are represented by various tags. The tag set gener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training data set to improv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지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 이혜영(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전경선(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21-33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3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영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가치를 지향하는 공간 및 서비스 역할과 기능을 재수립하고 미래 지향적인 운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병영도서관 관련 법, 제도 등 운영 체제 및 관리 현황, 병영도서관 협력 사업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법/제도, 인프라/시설, 장서, 서비스/인력 등의 병영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병영도서관 운영 관련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적자원, 시설/설비, 장서/자료, 서비스 등의 효율적 운영방안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병들의 정보요구 충족 및 독서 진흥에 기여하고 사회변화를 선도하는 병영도서관의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the functions of military libraries in Korea, both as spaces and services, by examining current operating structures and offering strategies for development. In exploring the existing military library operations in Korea, this study assesses key areas, such as human resources, facilities and equipment, budget, cooperation, and collections and materials. By leveraging the cross-area assessments, the study identifies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modernization. This study may serve as a foundation to formulate policy-base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libraries, toward satisfying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armed forces and promoting the broader underlying priorities of military libraries.

곽승진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정미( 인덕대학교 도시환경디자인과) pp.339-35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3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라키비움 도입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공간구성과 프로그램의 문제는 라키비움, 메이커 스페이스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디지털 라키비움 관점에서 유로피아나, GLAM, DPLA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으로 최근의 메이커 운동을 반영한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 정보와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 라키비움 구축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메이커 스페이스, 자연과 건강, 호기심 지극 등의 키워드로 생태적 개념을 적용한 매력적인 공간의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절차와 방안은 크게 공간구성과 서비스 및 프로그램, 운영 규정 3가지로 구분하고, 12개의 세부사항으로 정리하여 미래형 도서관으로서의 라키비움 구축 절차와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of introduction of Larchiveum, which is a concept of multi cultural space in libraries. Problem of library space programs are discussed in terms of Larchiveum and Maker space, and recently i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Europeana, GLAM and DPLA from the view point of digital Larchiveum. As a multi cultural space, it is a strategy for constructing Larchiveum that reflects the recent maker's movement. Maker space that explores new ideas and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nature and health, curiosity and the construction of an attractive space using ecological concepts as key words. The process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Larchiveum are classified into 3 types of space configuration, service, program, and operating regulation, and twelve details are laid out to derive the process and method of building Larchiveum as a future type library.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