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다문화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Libraries and Local Organizations: Focusing on Multicultural Servic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8, v.29 no.1, pp.299-32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1.299
임여주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사회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다문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방식을 알아보고 그를 통해 다문화 인구에게 더욱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사서들과, 그들과 협력 관계에 있는 기관의 관계자들을 만나 심층 면담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에서 협력을 시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업무 담당 사서 인력의 부족과 사서의 다문화 관련 문화적 역량의 부족에서 찾을 수 있었다. 협력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비롯한 여러 기관과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각 민족 커뮤니티의 게이트키퍼(gatekeeper)가 프로그램의 홍보와 참가자 모집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기도 했다. 면담 대상자 중 상당수가 협력을 통한 서비스의 큰 성과로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청소년이 도서관과 독서에 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점을 꼽았다. 협력을 통한 다양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가 이주민들에게 충분히 가 닿지 않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면담 대상자들은 현재의 서비스 방식에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며 이주민의 문화와 생활 방식에 맞는 새로운 도서관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지역사회기관, 협력, 다문화 서비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es and the needs of public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opulations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local organiz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ians and officers of local organizations were conducted for this case study. Result shows that cooperation was inevitable because there was not enough library personnel compared to the amount of services they have to provide, and the librarians did not have proper skills to serve the diverse populations. Public libraries were cooperating with many loc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Gatekeepers of ethnic communities were playing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and inviting participants for library programs. Many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gained positive views on reading and libraries after participating library programs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local organizations, which was recognized as the best achievement of cooperation by many interviewees. Despite many good results of cooperation, how to get to the majority of diverse populations who are not library users yet is still a question mark. Interviewees for this study all agreed that current library service has limitations and insisted a whole new method to invit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to public libraries should be created.

keywords
공공도서관, 지역사회기관, 협력, 다문화 서비스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