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수준이 직무만족 및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Level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Library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in Public Library Librarian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8, v.29 no.1, pp.153-18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1.153
김수진 (송파어린이도서관 )
강순애 (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수준이 직무만족 및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감정노동수준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을 종속변수로,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사서 22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넷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계수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용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실제 감정과는 다르게 더 긍정적으로 표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하지만,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오히려 성취감을 느끼고,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자랑스럽고 기쁘게 생각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신이 하는 일이 전문적인 일이라는 인식이 강하므로, 감정노동을 경험해도 그것을 극복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긍지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더라도, 합리적인 직무평가가 목표를 가지고 실시되고, 직원들 간의 관계가 좋다면 업무에 있어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직원의 평가가 실적위주이더라도, 사서들은 이용자가 그들의 서비스에 만족하고, 그 서비스 수준이 적절하다면, 봉사 정신을 높일 수 있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사서, 감정노동수준, 직무만족,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 조직문화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level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library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in public libraries. The research model used emotional labor levels as an in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library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a control factor. The data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220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by distributing and collecting internet survey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statistic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ublic library librarians did not like to express their emotions to users, trying to express their emotions more positively than what they were actually feeling. Second, although librarians experience emotional labors, they feel a sense of achievement when undertaking their tasks and develop pride and happiness in their work. As librarians perceive their work professional, they overcome emotional labors, and have pride in their work. Third, although librarians experience emotional labors, a reasonable job evaluation with goal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ould lead to accomplishment in their work. In addition, although the evaluation of employees is focused on performance, librarians improve their service if library users are satisfied with their service and the services are provided adequately.

keywords
공공도서관 사서, 감정노동수준, 직무만족,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 조직문화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