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외 기관의 재난정보관련 SNS 운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SNS Operation Status on Disaster Inform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Public Institution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7, v.28 no.2, pp.57-7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2.057
두효철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박준형 (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김혜영 (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오효정 (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의료정보융복합연구소 )
김용 (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SNS는 신속성과 확정성이 높아 긴급한 상황 속에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는 데 유용한 수단이다. 특히 재난이나 사고 발생시 SNS를 통해 피해자의 안부확인수단, 상황파악과 같은 중요한 정보를 근접한 시각에서 정확하게 자세하게 관련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어 기존의 미디어가 하지 못한 역할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재난기관 SNS 운용현황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재난기관에서 SNS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재난관리업무의 효용성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FEMA, 일본의 FDMA, 중앙방재회의와 한국의 국민안전처의 트윗을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피드백 분석, 시계열 분석, 정보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드백 분석은 월별 이용자 피드백 수를 정량화함으로써 트윗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계열 분석에서는 국가별로 일정 기간에 걸친 트윗 수와 피드백 지수, 그리고 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피드백 지수가 높은 정보의 원인과 기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해야할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보유형분석은 이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트윗의 정보유형을 분석함으로써 기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해야할 정보의 유형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한국 국민안전처 트위터의 활용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재난, 재난관리, 트위터, 재난정보

Abstract

SNS is a useful tool to quickly deliver information in an emergency given their speed and expandability. Especially, SNS in the event of a disaster or an accident can offer on-site, accurate and detailed updates about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the safety of victim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served as a valuable complement to the conventional media.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social media are currently used by emergency management authoritie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ore effective ways to exploit SNS and improv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goals, this study collected tweet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FEMA of the U. S., the FDMA and the Central Disaster Council of Japan, and the MPSS of Korea. The collected tweet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eedback, time series, and information types. The feedback analysis aims to quantify the number of monthly user feedback in order to assess user satisfaction about the tweet information. The time series analysis identifies the number of tweet information, feedback index and keywords by country for certain duration, examining why certain messages showed high feedback indices and what kind of contents should be offered by the authorities. Finally, the analysis of information type reviews the type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weet information that drew users' attention to identify the information type in which the authorities should deliver information to user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methods to use Tweeter in MPSS.

keywords
재난, 재난관리, 트위터, 재난정보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