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6, v.27 no.3, pp.129-14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3.129
권선영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헌정보학, NCS 기반 교육과정, 교육 경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during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Curriculum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 conducted in depth interview (FGI) with participants who had recently experienced and data analysis was undertaken. We hope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s leading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As a result, First, The instructor had generally familiar wit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NCS. and they issued the inadequacies of job elements, non-reflection of the opinion on field education, the problems of classification of NCS. second, In the experience of NCS curriculum operating, There were the paperwork burden, Problems of methods of evaluation, evaluation period discrimination, the need to well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ird, In the problems on the NCS Curriculum operating, we found that there were The need on the proper Class size/hour, additional education, re-evaluation, Support system for NCS Curriculum operation, tools for practice, discrimination between relative evaluation and NCS evaluation, Enhancement for Competence/Standards. Fourth, On The ways of improving for NCS curriculum, We found that There were Class size, Support tools for practice, The improvement Competence/elements/standards based on LIS characteristic.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for improving the overall environment Based upon FGI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keywords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헌정보학, NCS 기반 교육과정, 교육 경험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