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부 3.0에 대한 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about Government 3.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6, v.27 no.2, pp.51-8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2.051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정부 3.0 정책에 따라 공공데이터가 대량으로 공개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하여 창업에 성공하거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앱을 개발하고 국민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앱 등이 수없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관도 공공의 영역으로서 정부 3.0 정책에 따라 데이터를 개방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이 나와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3.0에 대한 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도서관,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의 정부 3.0에 대한 인지도는 3.6 정도로 평균 이상이지만 추진과제에 대해서는 3.0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 3.0 정책이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3.65%로 그렇지 않다는 7.14%보다 6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부 3.0 정책에 의해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도서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분야별로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테마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개인정보보호관련 이용자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에 의해 공개된 공공데이터가 이용자와 도서관의 역할 변화 및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에 60% 정도가 동의했고, 오직 2.38%만이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keywords
정부 3.0, 도서관, 공공데이터, 연계활용

Abstract

Recently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3.0 policy, public data is being released in large quantities and entrepreneurs are succeeding in utilizing this policy to develop products and apps that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to use the information. As libraries belong to the public domain, libraries must open a variety of data to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3.0 policy, and make the various applications utilizing the dat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overnment 3.0 Policy, classified the success cases of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identified data having high availability from the library data, and tried to discover data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value through the library from other subject areas. An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of librarians of the University and Special Libra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brarians'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 3.0 was more than the average of 3.6, whereas for the initiatives presented in 3.0. Second, those responding that the government 3.0 polic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libraries were six times higher than those responding negatively. Third, the respondents listed the ways that the polic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library, in order, as providing to the user public open data classified by topic, providing user education about utilizing method of public open data, and privacy-related user education regarding open data utilization. Fourth, there was overall agreement by the respondents that public open data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library's changing role and image, with 60% responding in a positive way.

keywords
정부 3.0, 도서관, 공공데이터, 연계활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