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다문화 어린이 문학에 대한 독자반응 연구 - 다문화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

A Study of Readers' Responses on Children's Books about Multiculturalism: Focusing on the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6, v.27 no.1, pp.237-26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1.237
임여주 (한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Brooks와 Browne의 '문화에 바탕을 둔 독자반응이론(Culturally Situated Reader Response Theory)'에 근거하여 한국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자신의 삶과 비슷한 이야기를 다룬 문학작품을 읽어나가며 자신의 삶을 인식하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10세에서 16세 사이의 다문화가정 자녀 여섯 명과 세 차례에 걸쳐 네 편의 다문화 문학 텍스트를 읽었다. 연구에 사용된 텍스트는 이야기그림책 "함께 걷는 길"과 어린이소설집 "까만 달걀"에 실린 단편소설 세 편이다. 어린이들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외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의 정체성, 다문화(이중문화)로서의 정체성 등 자신만의 고유한 민족정체성을 바탕으로 작품 속 등장인물의 감정에 공감하거나 작품을 통해 드러난 한국사회의 인종차별에 분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텍스트는 어린이들이 자신을 비추어볼 수 있는 거울의 역할을 하여 어린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하여 고민하고 재구성하며, 숨겨왔던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어린이들은 텍스트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무력함과 밝지 않은 결말에 불만을 표했으며, 보다 긍정적인 성향의 다문화 배경 주인공이 등장하는 이야기와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선주민 한국인 어린이가 평화롭게 어울리는 이야기를 책에서 읽을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keywords
독자반응, 어린이문학, 다문화, 어린이, 다문화가정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readers' responses of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on children's literature that describes similar life experiences with the readers, based on Brooks & Browne's Culturally Situated Reader Response Theory. Six children between 10 and 16 met the researcher three times each, and read along four different texts about multiculturalism in Korea. The texts include On the Road Together, a picture book, and three short stories in The Black Egg.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various ethnic identities - identity as a Korean; identity as a foreigner; identity between a Korean and a foreigner; identity as a child of a multicultural (bicultural) family. The children empathized with the characters or showed their frustrations against racism portrayed in the texts. The four texts used in this study worked as a mirror that reflects each child's own self, and further allowed the children to contemplate their own identities and speak out about their deepest thoughts and feelings. The children were dissatisfied with the main characters' powerlessness and depressing endings of the stories. They wanted the character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to be positive and bright, and expected stories about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and children with non-immigration background.

keywords
독자반응, 어린이문학, 다문화, 어린이, 다문화가정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