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강성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pp.5-2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005
초록보기
초록

특정분야의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전문도서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증가하면서 정보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박물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전문정보서비스 기관인 박물관 자료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국립박물관 자료실에서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조사가 가능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운영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보서비스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s the use and expectations toward the specialized library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rvices in special fields has become more emphasized than before. In this context,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museum libraries have been more highlighted as the museum has been more frequently used and become popular. In that,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examines their webpages, and analyzes survey results conducted for national museum libraries. By so doing, this study intends to point out issues based upon the analysis and to suggest some recommendations for mor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박일종(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27-5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027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경쟁력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2014년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30개 대학을 표본으로 하고, 4개 영역별 평가 점수와 도서관의 주요 지표인 도서관 건물면적, 장서수, 직원수, 예산을 변인으로 정하였다. 또한 평균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이 대학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1) 설립주체 평균분석에서는 국제화 지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간 평균분석에서는 국제화 지표와 평판 및 사회진출도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관분석에서는 도서관 예산과 직원수가 대학평가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top thirty universities in 2014 by the college rankings of the Korea Joongang Daily were chosen for the samples of this study to find how much academic libraries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Evaluation scores of the universities in four areas, and building size, budgets, the number of collections and personnels were also decided as the variabl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to the universities' evaluation and rankings of their libraries through average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studi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1) Average analysis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obalization indicators, reputation, and social advance degree. Also, (2)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library budgets and the number of personnel highly affected the university evaluations or rankings compared to the other variables.

장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송나라(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최효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pp.51-8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051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 기록관은 역대 대통령의 역사적 기록물을 다루는 기관으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오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중학생의 교육과정에 자유학기제를 도입했고, 제 7차 교육과정에는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체험활동을 위해 지역기관과 협력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협조를 구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대통령기록관과 학교의 연계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의미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사회과 공통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기록관의 체험학습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체험활동에 적합한 협동학습모형을 선정하고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체험학습 프로그램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Presidential Archives is a research institute that manages presidents' historical records and archives. It provides various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presidential records and archives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free-learning semester and has conducted test trials in 42 schools since 2013. All of the middle schools will conduct the free-learning semester from 2016. The <TEX>$7^{th}$</TEX> educational curriculum includ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ommended that schools should cooperate with local public organizations for experience activities. But, It is difficult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proposed the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records and archive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do the meaningful education in the clas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o do it, this study analyzes current situation, deducts the problems caused in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and adopts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s and components suited to experience activities.

이종문(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83-10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과학기술정보 요구 및 제공 실태를, KISTI 부산, 울산, 경남지원에 지원을 요청한 1,059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부울경은 중소기업의 96.3%가 소기업(중기업 3.7%)이고, 전체 중소기업의 31%가 10인 이하의 R&D 인력을 갖추고 있을 정도로 기업과 R&D환경이 열악하였다. 둘째, KISTI에 정보지원을 요청한 중소기업이 3년간 평균 0.2%에 불과하였다. 셋째, 요구 유형별로는 시장동향(26.8%), 산재권(22.1%), 사업제안(19.9%), 아이템발굴 (16.8%), 품질인증(8.4%) 순이었다. 지원정보는 과학기술정보조사, 시장조사, 번역, 정보활용세미나 등이다. 지원에 따른 성과는 기술개발개선 및 제품출시 379건, 기술인증 88건, 특허/실용신안 출원등록 414건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이 자력으로 R&D 정보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만큼, 가칭 동남권과학기술정보지원센터를 설치할 것, 지역 특화산업분야 정보전문가를 양성할 것, KISTI의 중소기업 정보지원 인력과 예산을 확대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supply status and demand of the scientific & technological information among the 1,059 small enterprises demanding the support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hich have been supported by the Branch of KISTI and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scientific & technological information system.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have very poor business and R&D environment to the extent that 96.3% of businesses was small business (medium business only for 3.7%) and 31% of total small & medium-cized businesses has less than 10 R&D workers. Small & medium-sized businesses which have demanded the information to KISTI account for only 0.2% in average for 3 years. The information demand types are market trend (26.8%), industrial property right (22.1%), business proposal (19.9%), item exploration (16.8%) and quality certification (8.4%). The supplied informations includ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ata survey, market survey, translation and information application seminar. The business achievements from the information supply include 379 cases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improvement and launch of products, 88 cases in technology certifications and 414 cases in patents and utility design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By the analysis results, th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ve difficulties in using R&D information by themselves. Thus, it's proposed to establish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in southeastern region and develop the information advisors specialized in local specialty industry categories. It's also proposed to expand the manpower and budget of KISTI concerning the information support for small & medium-sized businesses.

류제희 (충북단양초등학교 )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01-12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 80%가 넘게 배치된 비정규직 학교도서관 직원들의 고용실태를 알아보고 그들의 직무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수행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북지역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만족, 고용여건, 근무환경, 대인관계' 등의 요인들은 전체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무기계약직 전 후의 업무만족도 분석결과에서는 사전 사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서의 수행업무를 조사하였으며, 자격증 유무에 상관없이 '열람 및 대출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이 생각하는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에서는 '비정규직 사서의 능력개발에 관한 문제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원하는 처우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고용안정 해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mporary librarians' employment status that have been placed in over 80% of the school libraries and deduce the issues of their job status for proposing some solution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d in this study, the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nalyzed an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librarians in the Chungbuk province and a survey was distributed in the same province. As a result, first,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otal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 follows; 'working satisfaction', 'employment conditions', 'work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etc. In the difference verification based on th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mployment status,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was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 analyses of the unlimited contractions. Second, the most overall review of the temporary librarians' job performances in relation to the 'reading and lending performances was conducted, regardless of the librarian certification. Third, the temporary librarians working at the school libraries responded that 'the manpower developer' was the most difficult consideration in relation to their employment statuses. And, asked about the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job conditions, most of the librarians wanted their job security.

이유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전공) pp.129-15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29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는 여러 학문과 사회 분야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의사결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데이터 큐레이터는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첫째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건의 국외 데이터 큐레이터 구인 공고를 수집하였으며, 둘째는 국내 데이터 관리 실무자 5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수집된 두 가지 데이터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7가지 핵심 직무 요건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4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직무 수행을 위해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기술 지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지식 및 전략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관리 이용자 교육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있어 4가지 범주로 구분되는 다양한 측면의 요건이 요구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 관리에 대한 통합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Abstract

As the digital technologies and internet have advanced, data have centered in the process of meaningful scientific ramifications and policy making in a wide variety of fields. Data curator in charge of managing dat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ata management and re-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for data curator.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sets of data were collected. First, a total of 255 job descriptions were collected from the web sites including ARL, Digital Curation Exchange, Code4lib, ASIS&T JobLine for the period of 2011-2014.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data curators from four diverse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The two sets of data were analyzed into seven categories identified from the related studies.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re competencies for data curator were identified into four categories, communication skills, data management techniques, knowledge and strategies for data management, and instructions and service provisions for us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integrated and professional curriculum developments for data curator with core competencies.

김수진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51-17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제조약과 국내외 법령에 나타난 저작권의 제한과 예외에 관한 내용을 살피고, 디지털 장서의 공정이용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 판례를 분석하여, 디지털 장서의 공정이용을 위한 법제도적 전망을 논한다. 선행연구 분석과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공정이용의 법리를 파악하고, 디지털 장서의 정의 및 유형을 알아본다. 공정이용을 둘러싼 실정법 체계의 이해를 위해 "베른협약", "세계지식재산권기구 저작권조약" 등 국제조약, 영국, 미국, 독일, 유럽연합 등의 국가별 법령, 그리고 국내법 상에 나타난 저작권의 제한 및 예외 규정을 살피고, 도서관 장서의 디지털 형태 전환과 부가서비스의 허용 여부 및 범주가 쟁점이 되었던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과 유겐 울머 출판사 간의 분쟁에 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례를 분석하여,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현행 저작권 체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discuss on legal prospects of digital collections' fair use through an analysis of treaties and legislations domestic and international. Based on analysis of lea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it discusses legal principles of fair use and defines digital collections' concept and types.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legal system on fair use, limitations and exceptions of copyrights which are presented in treaties, such as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and'Copyright Convention', each nation's laws, and judicial precedents. Especially, a legal dispute between 'Technische <TEX>$Universit{\ddot{a}}t$</TEX> Darmstadt' and Eugen Ulmer KG, which debates on library's rights for digitizing their collections without the rightholder's permission, is analyzed.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s it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copyright system in Korea.

윤아란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리상용(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77-20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중 미술 분야의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연구, 국외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는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사례조사, 국내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담당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내용을 토대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운영 개선을 위한 지침을 운영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Thus,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bout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nd investigating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of foreign public library case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managers and users in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of Korean public libraries. These results, based on which this study proposed guidance for operation improvement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of Korean public libraries while dividing them into operation factors and content facto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plan and operate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for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김수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 연구소) pp.207-23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발표된 118편의 정보활용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당면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정량분석을 통해 연도별, 학술지별, 관종별, 연구자별, 연구주제별로 분류하여 동향을 분석한 후, 8개의 하위주제별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관종으로는 학교도서관, 주제별로는 교육과정 개발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공공도서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by analyzing 118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The study first categorized the literature by year, journal title, type of library, type of researcher, and topic. Then, i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by 8 sub-topics. The study found that in terms of types of libraries, school libraries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and in terms of topics,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about public libraries was scarce.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rea.

김미진 (부평구립삼산도서관 )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41-26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41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의 성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 강화라고 할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도서관 내부인적자원의 능력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10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TEX>$LibQUAL+^{TM}$</TEX>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 중 직무자체 요인과 조직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When library performance is regarded as service quality, competency in human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fluential facto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and the service quality that users recognize in public libraries. Librarians and users in 10 public libraries in Seoul, Incheon,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with <TEX>$LibQUAL+^{TM}$</TEX> model. As a resul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duty itself and organizational factor show a high service quality. Consequently, to improve 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the librarian's job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Additionally,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박옥남(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67-29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67
초록보기
초록

고전문학의 대중적 향유를 위해 최근 고전문학의 교양교육에서의 활용, 문화콘텐츠로의 변형,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고전문학의 이해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이는 고전문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전문학 지식구조 정립을 위한 온톨로지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온톨로지 모델링은 BIBFRAME 모델과 OWL을 활용하였으며, 고전문학 문헌 및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작, 인스턴스, 전거, 주석의 19개 클래스를 도출하였으며, 클래스별 속성 및 색인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고전문학 온톨로지는 의미기반 고전문학 시스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Diverse researches such as referring to classical literature for liberal arts courses, transform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to cultural content and understanding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digital media have been engaged in an effort to spread the diachronic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to the public in general, which should be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authorship of classical literature. Thus this study aims to design ontology in order to establish knowledge structure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e BIBFRAME model and OWL have been utilized while a variet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related studies have been analyzed. This led to 19 classes of Work, Instance, Authority, and Annotation, instance, each of which has been provided with property and indexing examples. The classical literature ontology design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a classical literature system in future.

이정미(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291-3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과 대학생 이용자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정보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각 요소들과 이에 연관된 상관관계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데이터는 설문조사로 수집,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용자들은 도서관 정보원은 신뢰하나 실제 탐색에는 탐색엔진을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쉽게 빠르게 획득가능한 정보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정보원 비교 등 각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당히 많은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관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at overall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library and explore the sources and their related variables as well as find out related issues of percep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use of them.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data. The result shows the population users preferred search engine so much over library as their information search tool even if they trust library information sources more, also, they tend to seek information sources when it has easiness and fastness to get. Correlation analysis such as <TEX>${\chi}^2$</TEX> and Spearman were implemented an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shows that many factors of this study covered-such as comparison of information sources-have significant differences each other.

서은경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 ; 이원경( 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박은경( 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이옥성( 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pp.315-34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3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발표한 논문들의 계량서지적 특징과 연구패턴, 연구영역을 규명하고 문헌정보학분야의 또 다른 학술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정보관리학회지"의 논문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학술적 특징과 최근 동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2010에서 2014년까지 5년간 발행된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300편,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344편 그리고 "정보관리학회지"의 283편, 총 927편을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분석, 저자키워드 분석, 그리고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계량서지학적 분석에서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와 다른 학회지와 별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다른 학회지와는 다르게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주제는 정보서비스였고 그 다음은 도서관경영과 독서교육이었으며 서베이 방법과 사례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적구조 분석을 통하여 '공공도서관과 독서 영역', '대학도서관과 장서관리 영역',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 영역'이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최근 핵심연구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reviews articles in published in the The Journal of Korean Biblio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KBSLIS) over 5 years from 2010 to 2014 for identifying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JKBSLIS. 300 articles of JKBSLIS are analyzed in terms of bibliometric factors, research theme, methodology, author keywor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comparing with 344 article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KSLIS) and 283 article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KOSIM). In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JKBSLIS and the other two journals, JKSLIS and JKOSIM regards on bibliometric factors. The domain research areas in the JKBSLIS are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and 'Reading Educ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most popular methods are 'survey' and 'case study' and that the main research areas in the shown intellectual structure are 'public library & reading', 'academic library & collection management', and 'school library &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