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 고찰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ore Competencies of Data Curator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5, v.26 no.3, pp.129-15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29
이유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정은경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전공)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는 여러 학문과 사회 분야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의사결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데이터 큐레이터는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첫째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건의 국외 데이터 큐레이터 구인 공고를 수집하였으며, 둘째는 국내 데이터 관리 실무자 5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수집된 두 가지 데이터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7가지 핵심 직무 요건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4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직무 수행을 위해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기술 지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지식 및 전략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관리 이용자 교육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있어 4가지 범주로 구분되는 다양한 측면의 요건이 요구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 관리에 대한 통합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keywords
데이터 큐레이터,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직무 요건, 데이터 관리 실무

Abstract

As the digital technologies and internet have advanced, data have centered in the process of meaningful scientific ramifications and policy making in a wide variety of fields. Data curator in charge of managing dat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ata management and re-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for data curator.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sets of data were collected. First, a total of 255 job descriptions were collected from the web sites including ARL, Digital Curation Exchange, Code4lib, ASIS&T JobLine for the period of 2011-2014.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data curators from four diverse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The two sets of data were analyzed into seven categories identified from the related studies.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re competencies for data curator were identified into four categories, communication skills, data management techniques, knowledge and strategies for data management, and instructions and service provisions for us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integrated and professional curriculum developments for data curator with core competencies.

keywords
데이터 큐레이터,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직무 요건, 데이터 관리 실무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