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김은정 (행남초등학교 ) ; 송기호(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pp.5-2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활용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의 실천 전략으로서 창의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창의적 프로그램 운영 후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평균이 130.14점에서 163.83점으로 33.69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세부능력 중에서는 학습계획과 학습평가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학습실행 능력을 구성하는 학습실행의 지속성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참여 학생과의 면담 결과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고, 다른 과목에도 읽기전략, 쓰기전략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대답이 많았다. 따라서 교과와 연계하여 글쓰기를 지속적으로 지도하고, 정보 활용 전략지를 활용하면 학습 실행의 지속성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reative writing program that is one of the practical strategy of information liter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program raise the average score of 33.69 points from 130.14 to 163.83 significantly i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mong the specific abilities of them, this program affects learning planning and evaluation capability meaningfully. But the long term continuous of learning executive is not changed significantly by this program. As the results of after interview with the students who take part in this program, the most of them respond that they could reduce their fear of writing and apply the reading and writing strategies to other subjects. So, if we teach this program with subjects consistently and use the learning strategies of information literacy, we could improve the long term continuous of learning executive.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최원태(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윤다영(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pp.25-5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025
초록보기
초록

교과서전문도서관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 교과서 개발 출판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현실을 보면, 국가지원운영 예산 부족, 공공기반시설로서 기반 취약, 교과서 관련자료 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간 연계체제 미흡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그리고 전문가의견수렴과정을 거쳐 교과서전문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 구축 및 운영의 중장기 정책방향을 크게 교과서전문도서관 조직 및 운영,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자원의 수집 및 목록작성 방안, 그리고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화전략 및 특화콘텐츠의 구축 등으로 대분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pecialized textbook library provides resources for textbook publishers and textbook development professionals as well as others in related fields who are committed to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our country. The textbook library also supports research and education among the faculty and students. But, when examining the reality of the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analysis concludes that it faces various problems such as state-supported operating budget shortfalls, weakness of public infrastructure, difficulty in collection of textbook-related data, and lack of inter-linked library systems. Thus, this study deter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through the process of literature analysis, case studies, and reflection of expert opinions. In this study, a long-term policy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operating of textbook specialized libraries has been proposed as follows: organizing and operating a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collecting and creating a list of textbook-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creating information strategy, and constructing specialized content for the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강은비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박소리(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이윤희(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최효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pp.53-7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053
초록보기
초록

기록전문직은 소속된 기록관의 모든 기록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기록물을 보존 관리하는 전통적인 역할을 포함하여 그보다 더 확장된 역할 수행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교육프로그램 과정은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필수적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분야별로 개략적인 이론교육 위주로 구성되어있으며,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유형과 내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과 국내 외 재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현직 공공기관의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과 변화하는 기록관리 업무 환경을 반영하여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한다.

Abstract

As archivists are professional who is responsible for professional works related in archives, they are required to perform expanded roles including traditional roles in changed environment surrounding archives. To solve those requirements, reeducation program can be essential for improving archivists expertise. However, as compared with education quality and programs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required to archivists, reeducation program currently offered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inadequate to deal with performing the extended roles required to archivist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 of reeducation program currently offered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compared to domestic and foreign reeducation programs, and surveyed archivists' opinion about requirements to perform their extended roles i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mproved a reeducation program in National Archives in Korea.

육혜인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 장준갑( 전북대학교 사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pp.79-10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0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민간영역의 중요 기록물을 보호하기 위한 취지로 운영되고 있는 '기록사랑마을'을 대상으로 기록물 관리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2008년부터 매년 지정되고 있는 기록사랑마을이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은 2014년 기준 3,000여 점에 달하지만, 기록물 현황 파악이 쉽지 않고, 기록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이들의 관리와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사랑마을 기록물의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앞선 연구에서 제시된 관계자 의견 가운데 하나인 '기록물의 전산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록사랑마을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로 거론된 '인력과 비용 문제', '시스템 구축의 부담감'을 고려하여, 웹 기반 기록관리용 공개 소프트웨어로 주목받고 있는 AtoM(Access to Memory)을 활용한 기록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management plans for 'Archive Village' that are operating in order to protect important private records and archives. Since 2008, Archive Villages from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ve had nearly 3,000 more records by 2014. However, many users have had difficulties to know the status of the recorded material, even less access to record's informations. This problem arising is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use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management of records, which is to realize the 'Computerization of records' official opinion, one of which was raised in the previous study. Because the project is facing the issue of 'human resources and costs', 'the burden of system construction'. This study is implemented records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problems noted above, utilizing AtoM (Access to Memory).

이능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 김건(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pp.107-12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1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NIE(Newspaper In Education)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하여, 사회과 교수 및 학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매일 급변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신문과 상징적이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통령기록물을 접목하여 교과서와 현실사회를 연계하고 정보화 사회에 필수적인 정보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스스로 학습 과정을 구성해 나가는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학생들은 더욱 풍부한 시각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문을 활용하는 교육인 NIE를 기반으로 하는 대통령기록물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실제응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NIE for social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through newspapers reflecting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for users of presidential archives. With the process,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sers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which has become a necessity in information society.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students may have various experiences, wider perspective and diversity with self-directed learning. To perform the goal,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NIE and an applied case.

이란주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김수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p.129-15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학문 및 전문분야 연구자들의 정보이용행태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1970년대부터 2014년까지 수행된 정보이용행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국내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과학기술, 사회과학, 그 외 기타분야로 구분하여 기존 연구들의 연구방법, 대상, 변인, 그리고 결과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같은 정량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정보이용 목적, 정보요구, 정보이용 유형, 만족도 등의 분석 변수가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각 분야의 연구자들은 디지털 환경에 따른 정보이용의 변화를 보이는 가운데, 주제분야, 신분 및 직위 등에 따라서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가 다르게 나타나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정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reviews literature regarding information use behavior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1970 to 2014 in Korea. It aims to identify the researchers' information use behavior in specialized fields and contributes to provide th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s' needs. In order to do that, it reviews research papers that are associated with information use behavior by primarily examining the subjects, methods, variables, results, and suggestions of collected literature. It reveals some differences among researchers according to their fields, career, and status while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make appearance the change of information use up to digital environments. It is suggested that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us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provided.

이혜영(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155-17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 중의 하나인 서평서비스의 사례 조사와 사서 대상의 설문지 조사를 통해 서평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점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문헌정보학과 소재 4년제 대학도서관 35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중 서평서비스 자체를 제공하지 않는 7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28곳을 3개의 내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서평서비스는 대학도서관에서의 홍보여부 및 방법과 이벤트 여부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는 도서관 참여율을 높이거나 이용자들의 독서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며 대학도서관에서의 서평서비스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들은 서평서비스의 활발한 이용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와 매력적인 이벤트 실시, 학교 차원에서의 지원, 사서의 의지, 토론문화로의 확대 방안, 대학 간 서평 통합 제공 그리고 다른 기관 독서프로그램과의 연계 방안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by case investigation of book review, one of user-participation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y, and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n librarians, aims at suggesting current statuses, problems, and improv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rvices performed at 35 4-year universities establish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except 7 ones which doesn't offer the service, investigated the service offered by 28 universities, classifying with 3 contents. As a result, the publicity and method in university library including event had an influence on u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crease participation rate and to promote reading activity. This study judged that book review is indispensible to university libraries. Libraries presented the opinions tha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ctive book review, libraries have to perform positive publicity, attractive event, support in the level of schools, librarians' wills, expansion of discussion cultures, offer of unified book review among universities, and linkage method with other organization reading program.

김혜주(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73-19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pose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disability services librarian training. To this end, there was researched and analysed the Curriculum for the librarian disability service training courses and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ility and LIS curriculums in abroad and domest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by the more comprehensive study developed a model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disability services librarian competencies. Models were divided program is being offered to Track 1, 2. There are Education types which are organized cyber-shaped form of education training, set-type training, and was organized in blended learning.

곽철완(강남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pp.199-2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의 정보화 현황과 2012년과 2014년의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2년과 2014년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조사 내용은 정보화 일반현황, 소프트웨어, 디지털자료실, RFID, 디지털 콘텐츠, 모바일 서비스, 통합서비스 현황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었다. 조사 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를 지역주민에 대한 전시적 효과에 치중하였다. 둘째, 정보화 담당인력이 부족하였다. 셋째, KOLAS의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넷째,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미흡하다. 개선 방안으로 차세대 자료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 모바일 앱과 웹 서비스 확산, 디지털 콘텐츠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 방향으로 이용자의 디지털 콘텐츠 및 기기 이용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situation of the informationization of public libraries between 2012 and 2014.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in both 2012 and 2014 using Internet survey. Survey contents were general information situation, softwares, digital service room, RFID, digital contents, mobile service, integrated digital services. Results show that library informationization went for demonstration effect for local residents, staff for library informationization was insufficient, KOLAS was still needed to be upgraded, and most of public libraries were insufficient for future digital services. As improvement plans, there are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integrated system, expansion of mobile web and app service, and increasing digital contents. For further study, it provides a study of the use of digital contents and equipment on public libraries.

백재은(덕성여자대학교 정보연구소) pp.217-23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217
초록보기
초록

올바른 독서치료를 위해서 이용자는 자신의 상황과 증상에 대한 자가판단과 함께 치유서의 올바른 선정및 접근이 필요하다. 이용자는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상황별 카테고리를 이용해서 치유서에 접근하지만, 독서치료를 원하는 이용자가 자신의 복잡한 상황 및 증상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하나의 단어 혹은 키워드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다.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연령별 카테고리를 제외한 1개 혹은 최대 2개의 상황별 카테고리를 제공하며, 이로 치유서를 분류하고 있다. 이용자가 복잡한 상황을 가지고 카테고리에 접근하는 만큼, 이용자의 접근 효율성과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1개의 카테고리 보다는 복수의 카테고리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를 원하는 이용자가 원하는 치유서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초 연구로서 국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과 치유서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대표 독서치료 독서목록을 이용하여 카테고리간의 매핑과 크로스워크를 실시하였고,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서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Abstract

For bibliotherapy, users should understand their own life situation, select and access the book (self-help book). User access to book through situation catalog (or list) in reading list, but user is difficult to define and simplify in one word after understanding their own situation. Catalog of bibliotherapy reading list classifies books using one situation category or maximum of two categories other than the age-specific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pproached and analyz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otherapy and reading list, in order that access more efficiently to book what user wants. Bibliotherapy reading-list by using mapping and crosswalk between categories, and analyzes category of reading lists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차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pp.241-26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241
초록보기
초록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200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공공도서관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도서관 운영 평가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 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기간(2009년~2013년) 가운데,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된 2010년 실적부터 2013년 실적까지 4년간의 평가 데이터를 대상으로 규모를 기준으로 한 범주별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눈 지역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계획과 장서구성 등 내부 운영 역량 개선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거두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격차는 개선되지 않았으며, 도서관 그룹 별로 투입 자원과 도달률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하여 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Since 2008,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has conducted 'Nation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and almost all of the public libraries have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on the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nalyzed four years of the performance scores (2010~2013) during the period of the <TEX>$1^{st}$</TEX> National Library Development Plan 2009~2013, which used the same measurement, were analyzed by the size groups and regions. The results indicated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internal process such as planning and collection building. Yet attainment gab remains between metropolitan and the other regions, and also differe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input and attainment among the public library size groups. It suggested the policy development considering the library size and the regional difference.

박성재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 ; 이용구(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69-28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2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논리모델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했다. 사례연구로 연구대상 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독서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독서대학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논리모델 성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논리모델에 포함된 성과요소 중에서 도서관 데이터를 통해 측정이 가능한 중기성과를 중심으로 성과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독서대학은 연구대상 도서관이 제시하고 있는 산출평가 방식의 결과물에서 나타나지 않은 성과들을 만들어냈다. 도서대출과 관련하여 독서대학 참여자의 52%는 긍정적인 성과를 경험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독서동아리 가입이 증가했고 다양한 주제분야의 도서를 읽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독서관련 프로그램 참여율이나 독서대학의 재참여율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논리모델이 도서관 성과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ussing the applicability of a logic model as a mean measuring library outcomes. For a case study, this paper suggested a full framework for Reading Academy, a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mong the outcomes composing of the framework, medium-term outcomes were analyzed by manipulating the data the library have in its database. The findings say what the output evaluation could not show. In terms of book circulation, this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o 52 percent of participants. Additionally, some participants joined reading book clubs after the program and some were likely to read books in various topics. This program, however, didn't make a positive impact on its re-attendance and other cultural programs' attenda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gic model contributes in the field of library outcomes and valu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