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체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고찰에 관한 연구

A Systematic Review on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Research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4, v.25 no.4, pp.313-33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4.313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전공)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 생산, 유통,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지 검색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지검색 분야는 내용기반과 의미기반으로 나뉘어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문헌정보학 관점에서는 특히 의미기반의 색인과 검색에 주목해왔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연구 집적의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는 Web of Science 수록된 문헌정보학(Information Science/Library Science)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및 학술회의 논문 총 282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연구와 비교를 위해서는 DBpia에 수록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35건을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 과정은 우선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서지사항을 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내용분석을 통한 체계적 분석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미지 검색은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의미기반 이미지 검색이 주된 흐름이며, 그 중에서도 이미지 색인과 기술 분야, 이미지 요구와 검색행태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 경향으로 주목할 만한 분야는 집합적 색인, 다언어/다문화 환경에서의 색인과 이미지 요구, 감정색인과 접근 등이다.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검색 연구 측면에서는 특정 이용자 그룹 중에서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 주된 연구 대상 이용자 그룹이며 이 외에도 이미지를 업무에 사용하는 이용자 그룹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다. 최근에는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환경에서 이미지검색에 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국내 연구와 비교하면, 논문의 수적인 차이를 제외하면 세부 연구 주제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의 이미지 검색 분야의 연구 집적을 조명하며,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이미지 검색, 체계적 분석, 의미기반, 이용자 중심, 리뷰

Abstract

With the increased creation, distribution, and use of image in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internet, research endeavors have accumulated drastically. As two dominant aspects of image retrieval have been considered content-based and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has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accumulated research of image retrieval from the perspective of LIS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data sets were prepared: a total of 282 image retrieval research papers from Web of Science, and a total of 35 image retrieval research from DBpia in Kore for comparison. For data analysis,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was utilized with bibliographic analysis of individual research papers in the data se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wo sub-areas, image indexing and description and image needs and image behavior, were dominant. Among these sub-are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emerging areas such as collective indexing, image retrieval in terms of multi-language and multi-culture environments, and affective indexing and use. For the user-centered image retrieval research,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found prominent user groups for research while specific user groups such as medical/health related users, artists, and museum users were found considerably. With the comparison with the distribution of sub-areas of image retrieval research in Korea, considerable similarities were f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ect to guid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for future.

keywords
이미지 검색, 체계적 분석, 의미기반, 이용자 중심, 리뷰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