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성인의 공공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 개인, 도서관의 특성 및 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를 중심으로 -

A National Study Explaining the Public Library Use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ocal Library Inputs, and Local Government Investment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4, v.25 no.4, pp.291-31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4.291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송경진 ( (사)포럼 문화와도서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도서관 방문빈도가 그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그가 이용하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 그리고 거주지의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투자 수준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우리나라 인구의 성별, 연령, 지역적 분포 등을 고려한 유층표집을 적용하여 대한민국 전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일반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문사회조사기관의 온라인패널을 통해 2014년 3-4월 33일간 웹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3년 국가도서관통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방문은, 인구가 많은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독서량이 많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새로 건립된 공공도서관이 있고, 이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을 때 더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공도서관 건립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이용, 공공도서관 방문빈도, 도서관투자, 도서관통계, 지역사회, 전국 조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national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ublic library use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The study constructed a model of three types of factors to explain the frequency of public library visits: an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put and output measures of the local library, and the community size and library investment of the local gover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both a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of 1,000 adults of 18 years old or above who participated in a web survey and the 2013 National Library Statistics of Korea. It was found that a more frequent public library visit occurred when a person who read more and lived closer to the library,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a small to medium-sized scale, who lives in a city with a greater population and with more library staff members serving a fewer patrons. Implications for future public library constructions and for public servic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이용, 공공도서관 방문빈도, 도서관투자, 도서관통계, 지역사회, 전국 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