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4, v.25 no.1, pp.85-10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1.085
김성진 (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Davis의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술수용모형의 핵심변수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 모바일 시스템에 많이 적용되는 인지된 놀이성을 추가하였으며 외부변인으로는 모바일 도서관의 유비쿼터스속성 및 상황인식성과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두 곳의 모바일 도서관 접속 경험이 있는 재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된 유용성이 서비스 이용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모바일 서비스 이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인지된 놀이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외부변인인 유비쿼터스속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상황인식성은 인지된 놀이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모바일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쳤다.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이용의도를 결정하는 영향력 있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영역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함께 고찰하였다.

keywords
모바일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의도, 이용의도, 기술수용모형, 대학도서관, 스마트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ased on the Dav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employed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were core variables in TAM, and added perceived playfulness that was recently applied to many researches on mobile system acceptance intention. As external variables, ubiquitous ability, context awareness, and mobile internet self-efficacy were employ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25 surveys from two academic libraries and was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OS 21.0. As a result, perceived usefuln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users' acceptance inten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was an indirect determinant of service usage. But perceived playfulnes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Ubiquitous ability among extern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context awareness did on both perceived playfulness and ease of use, and mobile internet self-efficacy did on perceived ease of us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academic library mobile service area.

keywords
모바일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의도, 이용의도, 기술수용모형, 대학도서관, 스마트폰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