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경란(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5-3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00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를 증대하기 위한 경영개선의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도서관의 당면한 문제를 살펴보고, D광역시 Y구의 4개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800명을 대상으로 도서관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 이용목적, 이용횟수,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도서관경영의 개선해야 할 방향과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anagement improvement suggestion for better user satisfaction. For this,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current issues of public libraries with literature review. Then a survey of eight hundred users in four libraries in Y-gu, D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users' needs. As a result, the purpose of use, visit frequency and programs demanded are turned out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is resul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advisable management direction for public libraries and practical way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변우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 이병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pp.31-4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여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측정 결과 사서교사는 스스로를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춘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시당하고 비활동적'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중에서는 교육경력이 평가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배 사서교사의 조언자 내지는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선배 사서교사와 후배 사서교사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도서관협회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서교사 배치를 의무화하여 직업적 안정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 간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해서 전문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elf-image of the teacher librarian by 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 and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self-imag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 librarians have regarded themselves as friendly, planned, sensitive and cooperative persons as well as persons with discernmen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negative self-images such as partial, poor and uninfluential persons plus disregarder and a reserved persons. The educational career of teacher librarians' background has influence on evaluation area of the self-image. This result shows that senior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 as a adviser or a leader is very important. So mediator role of KLA and KSLA has to be reinforced to beat the exchange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senior and the junior teacher librarians. It is necessary to appoint the teacher librarians obligatorily in oder to feel their professional security and sense of achievement, also to appreciate expertise of them through role clarification among the human resources of the school library.

송기호(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pp.49-6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범주를 설정하여 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범위와 내용 설정 결과 정보제공 영역과 안내 영역의 서비스 내용이 독서교육이나 교과와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정 운영으로 수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2전국도서관운영평가 결과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도달률은 48.2%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독서상담이나 독서치료 등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정보서비스 내용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서교사 등 전문 인력자원의 지속적인 배치를 위한 제도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의 핵심 영역인 정보활용교육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위상 강화, 정보서비스에 필요한 기반 확충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아울러 독서상담과 치료 등 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가 지역사회와 연계성을 가짐으로써 학교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us of information service and to suggest its activation strategies after establishing its category in the school library. As a result of establishing scope and contents of information service, materials of information offering and guide are converged on rea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But the arrival rate of information service is very low like 48.2% under the 2012 Korean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It is especially poor to raise self resilience and schoo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formation service involved in the affective domain such as readers' advisory service and bibliotherapy. In order to activate its information servic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ystems improvement in placement of the teacher librarian.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under the nation-level curriculum and continuous base expansion as a cor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chool library. Service development for readers' advisory service and bibliotherapy is also needed to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 and stress situation of the student. The school library has to make an effort to connect its information service with local communities for the school community.

김종성(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71-9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0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회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에 창간호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학술논문 209편을 조사하였다. 연도, 학회지, 연구자, 주제, 연구방법, 연구비 등을 기준으로 논문 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2003년 이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시작과 함께 학교도서관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으며, 세부 주제로는 사서교사와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school library research in Korea. A total of 209 research articles have been selected from 4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uthor types, and research funds. The writer discussed the problems shown in the articles and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황금숙 (대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수경( 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 ; 김정화( 게임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pp.93-1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0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게임과몰입 어린이의 심리 변인 분석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게임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심리요인과 인터넷 중독 관련 독서치료 프로그램 등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1-2학년, 3-4학년, 5-6학년 중 게임과몰입 학생을 대상으로 12차시 게임과몰입 극복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문제적 게임이용 진단척도,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HTP 진단을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사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참여자 다수에게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학년보다는 저학년에서 더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시범운영에 대한 정성적인 평가에서도 프로그램 진행 초반에는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하였으나, 점점 독서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지고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신 및 타인의 심리적 이해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고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밝히고 있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program to overcome of the excessive absorption on games for children. A 12-week programs were developed and managed in 1-2 grade, 3-4 grade, 5-6 grad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Also MGUS (Maladaptive Game Use Scale), Self-Esteem Inventory, Self-Control Inventory, and HTP(House, Tree, Person) Diagnosis Tool were measured prior to the bibliotherapy and post-tests were followed to the participants statistically by t-test.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effectiveness to overcome of the excessive absorption on games for children.

이혜은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 ; 유춘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pp.113-12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113
초록보기
초록

한글 방각본 소설의 상당수는 해외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글 방각본 소설의 종합적인 연구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 자료들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하버드옌칭도서관(이하 옌칭도서관으로 약칭)에 소장되어 있는 한글 방각본 소설을 조사했고, 각 본의 서지(書誌)와 계통, 이본으로서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주된 목적은 그동안 이 자료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옌칭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0종의 한글 방각본 소설은 경판본, 안성판본, 완판본으로 나뉜다. 경판본은 7종이 있는데 "구운몽", "이해룡전", "장경전", "소대성전"(2종), "춘향전", "홍길동전"이다. 안성판본은 1종으로 "양풍전"이 있으며, 완판본은 "화룡도" 2종이 존재한다. 이 본들을 살펴본 결과, 8종은 국내에서 이미 존재하는 것들이었다. 이처럼 옌칭도서관의 한글 방각본 소설이 국내에서도 쉽게 확인되는 것들인 이유는 시기적으로 1950년대에 들어서야 자료를 수집해갔기 때문이다. 이는 1890년대 조선의 개항과 동시에 영국, 러시아 연구자들이 수집했던 자료들과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그러나 경판본 "춘향전", 효교신간(孝橋新刊) 30장본, 완판본 "화룡도" 84장본 서계서포본 2종은 현재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에서만 확인되는 것들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2종의 한글 방각본 소설을 통하여 경판 방각소(坊刻所) 효교(孝橋)의 특성, 완판본 서계서포 "화룡도"의 간행 양상 및 양책방본과의 관계 등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targets ten titles of Hangul banggakbon novels in the Harvard Yenching Library to examine the bibliography, system,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ten titles, gyeongpanbon Guunmong, Leehaeryongjeon, Chunhyangjeon, Janggyeongjeon, two titles of Sodaeseongjeon, Honggildongjeon, anseongpanbon Yangpungunjeon, and two titles of wanpanbon Hwaryongdo have been found in Korea, too. However, gyeongpanbon Chunhyangjeon, 30 jangbon of Hyogyosingan(孝橋新刊), and wanpanbon Hwaryongdo seogyeseopobon are the ones that can be hardly found in Korea, and the library has possessed it there so far. With the two titles of Hangul banggakbon novels, it will be needed to reexamine the aspects of publishing Hangul banggakbon novels afterwards. Hangul banggakbon novels that Harvard-Yenching Library has now are mostly the ones that can be easily found in Korea, too. It is because the data started to be collected from the 1950's. In comparison with the materials in England, Russia, or Japan in the early 1890's, there are no rare books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 The reason for this may be found from this.

곽동철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정현태(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29-15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129
초록보기
초록

지방의회 자료실은 지방의회 의원의 민주적 입법 및 의정활동을 지원하여 지역사회의 민주주의와 국리민복에 기여하고 있다. 전국 17개 광역 지방의회의 자료실은 자료수집과 입법정보서비스에서 지역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의회자료실의 입법정보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국적인 의회자료 간 협력기구의 조직과, 둘째, 의회발간자료의 공유를 위한 협력시스템의 구축, 셋째, 저작권법과 국회도서관법의 관련조항 정비, 넷째, 디지털 방식으로 간행되는 의회자료 중심의 공동 활용, 다섯째, 전국 지방의회 자료실에 대한 국회도서관 입법정보서비스의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요약되었다.

Abstract

The libraries of local councils contribute to realize democracy and promote national interests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by supporting democratic legislation activities and congressional politics of the local councilors. This study analyzes the libraries of local councils at 17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it confirms that there are various deviations in their library services such as material acquisitions and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by regional groups. On the basis of that analysis, the study summarizes the ways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ies of the libraries of local council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nstitute for national council materials. Second, the cooperative network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share council publications. Third, the provisions related the copyright law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ct have to be modified. Fourth, the libraries of local councils share their own materials focusing on digital publications. Fifth,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expands their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to the libraries of local councils.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안인자( 동원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 ; 최상기(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51-18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교과목의 개발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개발절차는 1) 주요 교과목의 주교재 조사 분석, 2) 직무분석결과로부터 교과내용 도출, 3)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반영, 4) 최종 교재목차를 장, 절, 항 수준까지 제안 등이다. 연구결과로 제안된 교재목차는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교과목에 대한 것이다. 모든 과목에 대해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urse textbooks in the LIS field. Th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 proposed in this study can also be a useful reference for developing the textbooks for other, non-core courses.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dure used was as follows; 1)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in textbooks of LIS core courses domestically and abroad, 2) deriving optimal curriculum content from job analysis results, 3) gathering comment and feedback from professors teaching core courses, 4) proposing a final, three-tiered table of contents for an optimal textbook. The textbook table of contents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relates to the core subjects of: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Library Fieldwork. We suggested chapter and section levels for all subjects, and list all of the detail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each section; instructors are then able to select from these options at their discretion.

이미화(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pp.185-20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ISBD 통합판과 KCR4의 데이터요소 및 기술규칙을 상호 비교하여 KCR4 개정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ISBD와 KCR4의 기술요소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상호 매핑테이블을 작성한 후 세부규칙을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첫째, 자원유형을 기술시 내용유형과 매체유형의 기술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통표제와 종속표제의 세부규정을 추가해야 할 것이며, 셋째, 대등표제, 대등책임표시, 대등판사항, 대등발행지, 대등발행처, 총서대등표제 등 대등표시에 대한 규정을 추가해야 한다. 넷째, 내용측면에서 자료특성사항 기술을 규정해야 한다. 다섯째, 발행지 기술시 통일성을 위해 본국 중심의 목록을 가능한 배제해야 한다. 여섯째, 자원유형이 모두 통합된 수량, 기타형태사항, 크기, 딸림자료를 기술해야 한다. 일곱째, 주기의 규칙번호는 조기성을 갖도록 하며, 여덟째, 자원식별을 위한 표준번호 기술에 대한 세부 규정이 필요하다. ISBD와 KCR4 규칙을 상호비교 한 본 연구는 앞으로 KCR4의 목록규칙 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new rules for revision of KCR4 by comparing between ISBD consolidated edition and KCR4. The study methods was to compare the rules in each element after mapping the description elements in each area of ISBD and KCR4. Resultingly, first, content forms and media types must be included for describing resource types. Second, it is needed for rules about the common title and the dependent title. Third, it is needed for rules about "parallel" such as parallel title, parallel other title information, parallel statement of responsibility relating to title, parallel edition statement, parallel statement of responsibility relating to edition, parallel numbering system, parallel place of publica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et. al. Fourth, the rules about material or type of resource specific area must be regulat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resource. Fifth, the home country principle must be not applied in describing the place of publica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the consistency. Sixth, it is needed to regulate the extent, other physical details, dimensions, and accompanying material statement for all materials instead of the material description according to material types. Seventh, rule number of notes must be agreed to number of main rules. Eighth, it is needed for detailed rules about resource identifier. This study might be contributed to revise the KCR4.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pp.205-23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05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도서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모바일 서비스의 양적 증가만이 아닌 질적 성장을 위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경험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적극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개의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재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도서관 이용빈도 및 목적, 이용/비이용 요인, 접근 경로, 주요 이용 서비스, 서비스 만족도, 불만족요인,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서비스 개선과 이용률 제고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Academic libraries are trying to develop fully mobile web 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so that users can access to their services even using mobile devices. As the mobilization trends of library services increase in quantity, we need to more focus on what mobile services users want, ultimately for the growth with qualit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users' needs and uses of mobile library services and then suggests solutions for improving the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conducted on and off-line surveys with 608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which have provided active mobile services with both a mobile web site and an appli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licit information on respondents' frequency of mobile library visit, the purpose of visit, the reason to use/not use, how to access to the services, the preferred types of the service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and urgently needed improvem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obile services and to increase in users' visit.

박희진(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pp.231-24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31
초록보기
초록

소셜 메타데이터는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에 사회적 기능이 부여된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소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73개의 국내 대학도서관의 웹 사이트를 조사하여 실제 활용되고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살피고 유형에 따른 활용방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소셜 메타데이터는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는 표현형 참여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이용자의 상호작용과 협업을 촉진하는 보다 적극적인 참여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소셜 메타데이터의 개괄적인 분석의 결과는 대학 도서관에서 소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use of social metadata in academic libraries. A total of 173 academic librar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Various social metadata were reviewed, involved with users'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Error-reports, tagging, recommendations, ratings, reviews, comments, sharing, and community were identified that support selec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through social engagement. Suggestions drawn from the findings are offered to utilize social metadata in order to enhance users' contribution and interaction. It is hoped that this exploratory study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use of social metadata in academic libraries.

이란주(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247-26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전자저널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과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전자저널의 효율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도서관 웹사이트를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이용자가 전자저널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전자저널 관리업무를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주요 논의는 1) 이용행태, 2) 선정, 구독 및 평가, 3) 접근과 검색, 4) 이용자교육 및 홍보, 5) 아카이브, 6) 오픈액세스, 7) 장서개발정책 등으로 구성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journals in academic libraries. Existing literatures were reviewed, web sites were examined,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librarians were conduct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d various aspects of e-journal management, including 1) user behavior, 2) selection, acquisition, and evaluation, 3) access and search, 4) user education and its promotion, 5) archiving, 6) open access, 7)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김성원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김정우( 경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pp.269-28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69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진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들을 등장시키고 있으며, 도서관을 비롯한 정보관리분야에서도 새로운 기법들을 적용한 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된 서비스들을 진화된 웹 서비스라는 관점에서 '웹 2.0'이라는 용어로 통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웹 2.0의 기법이 적용된 도서관서비스를 '도서관 2.0'으로 특정하여 부르기도 한다. 기술적인 진보를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도서관의 가치와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다. 국내외 도서관들도 새로운 기법을 적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들 가운데 일부는 이용자의 관심과 호응을 얻지 못하고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서관 2.0 서비스의 하나인 폭소노미 서비스의 제공현황과 그 활용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many types of new services, and the traditional sectors such as libraries and information management fields have actively applied new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ervices. Many of these newly developed services are described under the term 'Web 2.0', in the sense they are next-generation forms of services, and this coinage is duplicated in the term 'Library 2.0',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library services equipped with Web 2.0 technology. Active acceptance of advanced IT to library services is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value and role of library in this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So far, libraries in Korea and abroad have already been putting a lot of efforts and resources to develop and provide technically advanced services. Despite these efforts, it is found that some of these new services have failed to attract users' attention and interest, resulting in the low rates of usage. This study, therefore, reviews current state of the "Folksonomy" based services provided in Korean college libraries as a type of Library 2.0 services, and assess their usage rates.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is then used to develop a guideline to improve and mobilize the use of such services.

우윤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김종성(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용구(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89-3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8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을 실행함으로써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 학습지원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1년간 20회(40시간)에 걸쳐 실제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연구보고서법 수행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three 4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were provided a two-hour instruction about basic training on how to utilize information and school library, after which one of the three classes received 2 hours long weekl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curriculum for 20 weeks. The study, implemented in two phases with mid-term assessment, involved three interview sessions with students, two interview sessions with homeroom teachers, a general descriptive survey, a performance assessment and a follow-up survey.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