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전공) pp.5-2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제어기반 분류의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기능과 유형을 명확히 함으로써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분류체계로써의 정착 및 발전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37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표된 주제어기반 분류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주제어기반 분류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그 명칭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류로써의 주요 기능 수행력을 기존의 문헌분류와 비교하고, 분류와 주제명표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지식조직체계로써의 기능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주제어기반 분류는 구체적인 기능 정의, 유형, 사용되는 정보환경, 지식조직체계간의 관계성 등을 면밀히 고려함으로써 그 분류론적 개념과 기능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고, 향후 분류체계로써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analys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condition of the subject based classification(SBC), 2) to clarify the function and to categorize the specific kind of SBC, for its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is purpose, almost 30 cases, for the period 1937 through now, were analyzed concerning their terms used in the names and the specific kinds as SBC.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made regarding how the SBC fulfill the selected main functions as a classificatory scheme and how SBC is inter-related with the other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KOS) such as classification and subject heading.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 addressed that SBC could b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function, typ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interconnection among the KOS, and suggested the future development plan of SBC as a classification scheme.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25-4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0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전거제어 현황을 살펴보고 도서관 전거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 전거기술 스키마(Metadata Authority Description Schema: MADS)를 소개하였다. 또한 에이전트(사람, 조직), 사건, 용어(토픽, 장르, 지리 등)에 관한 전거데이터 XML 스키마인 MADS의 특성과 그 활용방안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MADS를 기반으로 한 전거데이터 상호운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 of authority control, introduced the MADS(Metadata Authority Description Schema) for authority data. MADS supports encoding an authority description for a agent(person, organization), event, term(topic, temporal entity, genre, geographic entity, hierarchical geographic entity, occupation) and defines main elements, subelements, and attributes using the XML schema language. Lastly, using the MADS's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d the effective use plans of interoperability of authority data.

정경희(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pp.45-6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출판에서 대학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출판비용 지원과 그 외 서비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은 COPE와 <TEX>$SCOAP^3$</TEX>라는 협력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또는 개별적인 도서관차원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비용을 지원하고 있었다. COPE 참여 대학도서관의 경우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투고하는 논문에는 APC 지원을 거의 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개별적으로 기금을 지원하는 대학도서관은 하이브리드 학술지 투고논문에 대한 APC 지원에 조금 더 관대하였다. 또한 기금지원이외의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과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은 저자의 논문투고 과정에서의 저작권 협상 지원, 발행과정의 기술적인 측면, 배포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roles of academic libraries in open access journal publishing in terms of monetary supports for publication. As a result, many academic libraries have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programs such as COPE(Compact for Open-Access Publishing Equity) and <TEX>$SCOAP^3$</TEX>(The Sponsoring Consortium for Open Access Publishing in Particle Physics) for authors to publish their research in open access journals. Also, 13 academ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have set up the campus-based open access author funds individually. Most of academic libraries in participating COPE did not fund for research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hybrid open access journals. In addition to publication funds, academic libraries provided authors or scholarly societies with such services as copyright negotiation, technological supports of the publication process, and the dissemination of open access publications.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pp.71-9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071
초록보기
초록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되고 20대 대학생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현재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서비스 수요에 발맞추어 대학도서관도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 운영 실태와 제공되는 콘텐츠의 유형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 15일에서 11월 20일에 걸쳐 국내 434개 대학도서관과 미국 ARL 소속 114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대학도서관은 55개의 모바일 웹 서비스와 29개의 대학도서관 단독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웹 서비스는 평균 11.2개, 앱 서비스는 평균 10.7개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모바일 서비스 제공방식과 콘텐츠 측면에서 국내외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문제점을 기반으로 국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s the smartphone market has expanded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market,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provide mobile library services to keep up with students' growing demand in mobil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trends of mobil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mobile services of 434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114 ones which are members of ARL during the months of September and November in 2012.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were offering 55 mobile Web and 29 mobile application services with 11.2 and 10.7 cont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identified current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further step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mobil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박성재(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pp.93-10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0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의 조별활동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위키를 활용한 교육을 진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생들이 수업을 위해 사용한 위키 사이트에서의 활동은 물론, 수강 학생들 중 1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수강하는 수업에서 조별활동은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적으로 과제를 하는 것보다 조별로 하는 과제로부터 더 많은 학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의 과정에서 위키사용경험이 없다는 점과 학점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관계보다는 과제중심의 조별활동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새로운 개념의 도구가 제안되었다 할지라도 과거의 방식에 따라 조별활동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위키사용 방법을 교육함과 동시에 협업을 통한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관계중심의 조별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그 교육적 효과가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y contradictions which arise with the use of Wiki in the classroom, and to address such contradictions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among LIS students. This study employed a multi-methodology, including Wiki usage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1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LIS class. Observations revealed that group projects are common in academic classes. Interviewees agreed that their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efforts was higher than that through individually performed activities. However, there were no pre-experiences with Wiki in learning and task-oriented cooperation which gave rise to a controversy. In addition, even though a new technology, as a more advanced form, was suggested, students cooperated with their peers according to their tradition without using the recommended new technology.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taught about Wiki usage and experience the effective learning which is available to th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ir peers. Additionally, LIS curriculum should incorporate relationship-oriented activities using Web 2.0 applications with the expectation of enhanced learning among students.

김수진 (한국교통연구원 ) ;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전공) pp.109-12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의 첫 단계인 수집에서부터 효율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사례분석과 연구관리기관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사례로서는 영국 정보시스템 합동위원회(JISC), 호주의 멜버른 대학교의 연구기록물 관리지침 그리고 캐나다 연구도서관협회(CARL)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과학기술연구회 연구기관,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소속 23개 기관으로 총 49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사서가 응답한 설문지 43부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과 설문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집 개선 방안을 수집과 관리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기관의 효율적인 연구기록물 수집을 위해서 우선 제도개선과 정책수립이 근본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매뉴얼 작성과 이용이 현실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함께 전문인력으로써 연구기록물 담당자 배치가 시급하며, 담당자를 통한 연구기록물 수집의 적극적인 홍보와 노력이 중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pproach to acquire research records effectively in context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via case stud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case studies, a report from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in UK, the University of Melbourne policy on the management of research data and records, a report from Canadia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CARL) are analyzed. In addition, a survey questionnaire is conducted for forty nin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forty three responses out of 49 institut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es on case studies and responses of the survey, an approach for research records management with four aspects is proposed: regulatory policy, best practices and manuals, professionals for research records, and outreach programs of individual reseach institutes for acquiring appropriate research records.

이종문(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25-13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K대학을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를 분석,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2006년 8월부터 2011년 2월까지 5년간 취업가능 졸업자 178명을 분석한 결과, 취업실태는 취업 65%, 미취업 32%, 진학 3%로 나타났다. 이 중 취업자 116명을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는 정규직 40%, 비정규직 60%로, 직장 유형은 일반회사 29%, 공공도서관 16%,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각각 10%, 대학/학교행정 9%, 공공기관과 출판/서점 각각 6%, 전문도서관 5%로 나타났다. 또 담당직무는 사서업무 38%, 사무업무 30%, 영업/관리 7%, 텔러/판매 7%, 조교업무 5%, 웹/전산 3%, 학원 강사와 상품기획/디자인 각각 2%, 사서교사, 보육교사, 비서, 사보기자, 군인, 자영업 각각 1%로 나타나 40%대의 전공일치도를 보였다. 미취업자(56명)의 희망 진로는 취업준비 57%, 공무원 준비 21%, 교사임용 준비와 미확인 각각 1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문제점은 미취업률이 32%에 달할 정도로 높은 점,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취업률이 높은 점, 전공일치도 평균 40%대에 불과한 점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적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것, 전공학생이 정보 분야 일자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것, 학문분야 차원에서 전공분야에 대한 일자리를 개발하고 지도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graduate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K University,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mployment of those graduates, and to propose approaches to improve employment. Among 178 graduates getting a job for five years from August 2006 to February 2011, 65% of them was employed, 32% was not employed, and 3% continued further study, The 116 graduates employed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40% are full-time employees and 60% are part-time workers. For workplace types, 29% worked in general companies and 16% worked in public libraries. 10% worked in school libraries and college libraries. Those who worked in administrative divisions in colleges or schools comprised 9%. Those who worked in public organizations and publishing companies/bookstores were 6% each. 5% worked in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case of duties, 38% were librarians. 30% were engaged in office work. Those in sales/administration were 7%. Tellers/salesperson comprised 7%. 5% worked as teaching assistants and 3% worked in the web or in IT related businesses. Those who worked in private institutes and product planning/design comprised 2% each. Teacher librarians, day care center teachers, secretaries, company newsletter reporters, soldiers and self-employed workers were 1% for each. As a result, the major congruence was around 40%. For the career which the (56) unemployed desired, 57% prepared themselves for employment and 21% prepared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ose who prepared for teacher recruit examination and who weren't confirmed were 11% for each.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high unemployment to 32%, higher employment as part-time workers than full-time workers, and major congruence of just around 40%. As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at the national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actively create jobs, make the students majoring in LIS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jobs related to information science, develop jobs related to LIS on the academic level and provide guidance to graduates.

오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전공) pp.141-16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41
초록보기
초록

납본은 국가에서 발행되는 모든 자료 수집의 필수적인 방안으로 국가도서관에서는 출판사의 납본을 적극적으로 독려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대형 출판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소형 출판사들은 국가도서관의 적극적인 납본홍보에도 불구하고 납본이 활성화 되고 있지 않아 납본율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출판사가 생각하는 납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할 점을 살펴보고 이들이 갖고 있는 납본에 관한 인식과 납본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납본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납본제도의 개선이 납본대상범주의 재구성, 납본 기한의 연장, 납본 보상금의 조정을 위한 보상합의체의 구성, 납본 과태료의 실질 적용, 납본기관의 확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납본 절차의 간소화가 납본서류 작성의 편리화, 납본서와 납본 보상 청구서의 일원화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납본 온라인 시스템의 구축이 납본 온라인 시스템에서 납본서류 작성, 납본여부 실시간 확인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납본 홍보 방법이 납본 교육의 의무화, 홍보 우편의 방법 개선, 한국문헌번호센터 홈페이지와 출판유통업체를 통한 홍보로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National libraries have an obligation to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users by collecting as many various materials as possible. As legal deposit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collection building methods of national libraries, they are trying to encourage the legal deposit of the publishers. However, the rate of legal deposit for the most publishers are pretty low.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plans of legal deposit system for the purpose of helping legal deposit of national libraries improve smoothly has been investigated by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legal deposit system that publishers had and by suggesting the matters that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legal deposit by publishers. The plans for the revitalization of legal deposit for the publishers are as follows: promoting factors of legal deposit systems such as scope, deadline, compensation, fine and legal deposit libraries, simplification of legal deposit procedures, set-up of automated online system for legal deposit and strengthening of the method for promoting and educating the legal deposit.

송기호(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pp.161-18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61
초록보기
초록

국제 학교도서관 기준에서는 사서와 교사의 자격을 갖춘 학교사서를 학교도서관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하여 보조직원의 지원을 받도록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사서와 사서교사의 자격 요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에 둘 수 있는 인적자원은 교사의 자격 요건을 갖추지 않은 사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직무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도서관 기준과 학교도서관 관련법에서 정한 자격 요건이 상충하기 때문에, 사서직의 전문성과 사회적 위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은 학교도서관 교육 기능의 불완전성, 교육 서비스의 불공평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절심함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교육주제 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격 제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도서관에 두는 인적자원의 유형을 사서교사와 준전문가 그리고 자원봉사자로 구분함으로써 자격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경영자, 교수자, 정보서비스, 리더, 협동, 파트너'의 틀 안에서 자격 유형별 직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school library suggests that school librarians qualified for librarian and teacher should run the school library. And library assistants should support the teacher librarian to carry out a role as a teacher. Despite the difference of requirements, librarians without teachers' license are under the human resources for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job descrip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ian and librarian is not well-defined in Korea. The different requirements in the library standards and the school library related laws have led to weaken professionalism and social status of librarianship. The condition that teacher librarians are not in the school library have brought the pressure to overcome imperfect functions of the school library and unfairness of educational servi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qual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ir identity as educational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e ought to also build proper foundations of social recognition about librarianship through classifying the types of human resources in the school library into the teacher librarian, library paraprofessional and volunteers. Especially we should hold the job analysis based on administrator, teacher, service, leader, collaboration, and partner.

정종기(경성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pp.181-19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사서들이 도서관 견학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도서관의 사서업무들을 직접 보고 들어봄으로써 사서직무수행을 위한 예비사서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밝혀내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의 견학담당 사서, 그리고 예비사서들에게 도서관 견학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도서관 견학프로그램에 참여한 A 대학의 예비사서 29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견학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도서관 견학이 예비사서들의 직무수행에 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다. 따라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견학담당사서들에게 있어서도 도서관 견학프로그램이 예비사서들의 사서직무 역할 수행을 위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아 도서관 견학이 예비사서들의 정의적 영역의 고취에 도움을 주어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library tour program on pre-librarians' perception as librarians, and to present the educational meaning of library tour program for pre-librarians. For doing this, the 29 pre-librarians participated in library tour are surveyed before and after library tour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ibrary tour program for pre-librarians is proved to have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establish the per-librarians' attitudes toward positive librarian job performance. It'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library tour program to pre-librarians.

김준홍(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통계.기초연구실) pp.199-21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99
초록보기
초록

한국 청소년의 균형 잡힌 민주시민역량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체계 개발을 위하여 청소년이 이용하는 도서관에 주목한 연구는 희소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수준에 도서관이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경험적 검증을 시도하고 그 결과의 공공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표집한 중 고등학교 1~3학년 재학생 1,386명의 표본자료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이용자들과 비이용자들 간의 민주시민역량 수준의 차이 검정과 도서관이용 경험이 민주시민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도서관이용 경험은 인식적 민주시민역량에는 긍정적 효과를, 실천적 민주시민역량에는 부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 청소년의 균형적 민주시민역량 조성을 위한 지원체계의 설계와 관련하여 도서관정책 관련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ests the effects of library use on adolescents' civic competencies for democratic citizenship in a Korean context. Utilizing data (N=1,386)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6), the study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test the association of library use of adolescents with the levels of civic competencies for democratic citizenship. Teenagers' library use had a positi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ognitive civic competencies while showing a negati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ehavioral dimension of civic competenc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library service for youth.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아름( 감사연구원 자료실) pp.219-23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219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의 양적 증가로 학교도서관 자원봉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학교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과 자원봉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자원봉사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고, 둘째,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관악구를 관할하는 동작교육지원청 관내의 초등학교 가운데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 대상인 12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사서와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셋째, 설문조사를 보완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대상인 학교도서관의 사서 가운데 8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자원봉사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자원봉사의 이해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s school libraries increase quantitatively, the importance of volunteer activities in school library is highly emphasized. In that regard, this thesis approaches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the school library and school library volunteers systematicall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school library volunteers. The survey was completed by school librarians and school library volunteers separately from the 12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Dongjak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library volunteers has been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accompanied interviews and, based on the analysis,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school library voluntary activities.

김수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인문영상연구소) pp.239-26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2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자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 요구와, 건강정보 추구행태, 그리고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22명의 대학생들을 심층면접한 결과, 소셜 미디어의 이용은 특히 몸에 이상증상을 느끼는 단계에서 증상의 진단을 위해 이루어지거나 건강한 상태에서 건강유지를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개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성 인식은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온라인상의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평가, 획득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활용능력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undergraduates' health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Interviews with 22 undergraduates revealed that social media was used mainly in a preventive stage or in a health maintenance stage. The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wide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media. This finding indicated the need for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at could help undergraduates effectively evaluate and acquire health information online.

김수진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61-28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2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를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운영방식과 직무만족의 개념 및 변인을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한 직무자체, 동료, 상사, 업무, 임금, 복지, 고용 등 7가지 직무만족 변인을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 전체 평균으로 나타난 만족도를 보았을 때, 직무자체, 동료, 상사, 업무 등 4가지 변인에서 긍정적인 만족감을 표한 반면, 임금, 복지, 고용의 3가지 변인에서는 낮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운영방식에 따른 직무만족 분석에서 주목할 것은 지자체 위탁도서관과 타 직영도서관 간의 차이였다. 지자체 위탁도서관은 고용불안감에 대한 체감 정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거의 동일한 수치를 보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에 따른 분석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업무결정 참여도와 업무 재량권 측면이었고, 이들 간 차이는 임금, 복지, 고용 측면에서 더욱 확연히 드러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librarians' job satisfaction at public libraries in Dae-gu, according to various management and employment styles. As a theoretical study, it discusses management styles of public libraries and argues concepts and factors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discussion the study selects 7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conducts a survey. All the respondents are satisfactory to 4 factors; job, co-worker, superior officer, and business affairs, but are not satisfactory to 3 factors; wages, welfare, and employmen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ntract managed libraries and direct managed libraries. At local government's contract managed libraries there is no difference in a sense of job insecurity between full-time and part-time librarians. Th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full-time and part-time librarians are concerning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and discretion in business affair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about wages, welfare and employment.

김용(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인문영상연구소) pp.283-30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283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이용자에게 있어서 적합한 정보의 획득을 위한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검색 및 여과시스템이 개발 및 발전되어 왔다. 또한 보다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개인화 정보추천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적극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방법으로 이용자의 관심과 선호도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관규칙 기반의 개인화 정보추천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추천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기존 추천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대용량 콘텐츠 및 이용자 환경에서 이용자의 묵시적 정보이용행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로그파일을 통하여 연관규칙 생성을 위해 요구되는 항목을 추출 및 변환하여 연관규칙 생성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관규칙의 생성 및 정보추천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explosive growth of information by recent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users need a method to acquire appropriate information. To solve this problem, an information retrieval and filtering system was developed as an important tool for users. Also, users and service providers are grow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personaliz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personaliz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AR as a method to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service for information users as a method to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service. To achieve the goal, the proposed method overcomes the weaknesses of existing systems, by providing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for contents that works in a large-scaled data and user environment. This study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o extract rules from log files showing users' behavior provides an effective framework to extract Association Rule.

정옥경(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09-32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3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서관계의 선구자인 박봉석에 대한 도서관 사상의 조명과 재평가가 이루어지길 바라면서 그가 편찬한 조선동서편목규칙에서 새롭게 정립한 사항과 그 속에 나타난 그의 사상과 정신이 무엇인지를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조선동서편목규칙의 편찬배경, 구성 및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조선동서편목규칙의 비판과 한국목록규칙의 탄생과 변천사항을 살펴보았다. 박봉석이 한국도서관계를 위하여 일한 시기는 1945년 해방에서 1950년 한국전쟁까지 5년 동안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한국 도서관계를 위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래서 그의 업적과 사상을 조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박봉석이 조선동서편목규칙에서 새롭게 정립한 규칙과 그의 사상과 정신을 조명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Bong Suk Park's thought and spirit in Korean Cataloging Rules for Oriental Books for illumination and revaluation of Bong Suk Park's library philosophy that was a pioneer of Korean library. The study examined a compilation backgrounds, configur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ataloging Rules for Oriental Books. A criticism of Korean Cataloging Rules for Oriental Books, creation and change process of Korean Cataloging Rules were examined. Though Bong Suk Park was worked from 1945 to 1950 for five years for Korean Library, he made a lot of contributions to Korean library.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d the Rules, his thoughts and spirit in Korean Cataloging Rules for Oriental Books.

공순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 박지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 ; 신한솔(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pp.327-34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3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that are open to public. it aims to increase library access and further improvement of accessible information environment by opening the libraries within schools. In case of Japan, libraries' importance to school education enacted world's first School library act by 1953 and installation rate of school libraries is achieved up to 100%. These libraries opened to its local community i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library usage and now in total of 11.6% of lower, middle, and upper school are already opened to their local community. Considering decreasing usage of facilities in schools, teacher vacant time, expanding libraries, and other various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t will lead to equal access to information environment and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ways of installing school libraries in appropriate sizes and forms within their local societies. It also propose possible ways to open school libraries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한수연 (수원 서호초등학교 ) ; 조현양(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pp.347-36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34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와 도서관 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도서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시 소재의 1개 초등학교, 3학년 64명의 학생에게 도서관 관련 그림책 14권을 총 7차시에 걸쳐 읽어주었다. 그림책 읽어주기 전과 후의 독서인식과 태도, 학교도서관 기능과 이용방법, 사서 업무와 사서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 태도, 학교도서관 기능과 이용방법에 대한 인식과 이해, 사서 업무에 대한 이해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서에 대한 인식과 사서에 대한 인식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to schoolchildren picture books on a library and its effects on their library use. 14 library-related picture books and 64 students in thi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Suwon were selected for reading activities for 7 weeks to students with once a week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ose students to observe the changes in students' recognition on a library and a librarian before and after reading activities. As a result, it appears to be some improvements on reading attitud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function and using way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role of a school librarian. However, no changes have been made on the recognition of reading activities and a libraria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 that reading picture books to children could be continuous and highly effective methods to library education system.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희선( 중앙대학교 BK21 기록정보고도화를 위한 전문인력 사업팀) pp.369-39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36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학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해 대학도서관의 주요 연구지원서비스의 유형을 분석하고,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용자의 유형에 따라서 그 인식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용자의 전공과 신분은 도서관서비스 인식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교수의 직급이나 학생들의 학년의 차이는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도, 유용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용자들이 연구지원서비스를 사전에 이용해 본 경험의 유무는 전공계열과 신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그가 수행하는 모든 연구과정에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원서비스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전공계열에 따라 서비스를 위한 교육방법과 상담 지도에서 선호하는 방법이 서로 달랐다.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type of major research and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in academic institutions. The research also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users using the research and support services. We found that the awareness was influenced by users' major and status. In particular, prior usage of the servic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users' major and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rank of faculty members or the year of study for students were found to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research support services. We also found that researchers require the support services in every stages of their study. In addition, the preference of training method and research guidance for such services differed by users' major.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91-4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391
초록보기
초록

국민들의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원을 탐색할 수 있는 이용자의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반 이용자들과 최접점에 있는 공공도서관은 그들의 건강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이 건강정보탐색능력과 분석능력, 정보원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올바른 건강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적합한 건강정보활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CHI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 증가, 건강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능력 향상, 건강관련 사이트 및 정보원에 대한 지식 향상 등의 측면에서 유의한 수준의 교육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에서 다양한 건강정보원에 대한 세미나를 제공해 주기를 요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CHI관련 교육을 공공도서관의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된 국내 최초의 CHI관련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강사진 구성, 주제의 다양성, 방법론 등에서 한계가 있었다. 향후 보다 다양한 CHI관련 이용자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Abstract

Despite the growth in public concern about health information, the ratio of users who can search for accurate and reliable health information sources has been found to be quite low. Public libraries, as the best contact point to general users, must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so that users will have the ability to search and analyze health information, judg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resources, and make informed health-related decisions. This study developed a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Korean public library users.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was measured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and necessary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education program had the following effects: improved public library users' familiarity with CHI-related terms, improved users' ability to find CHI-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and significantly improved knowledge about health-related websites and information sources. In addition, users expressed interest in seminars on a variety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in the public library and asked that CHI-related education be included in the library's regular programming. However, this research represented the first time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y users was performed in Korea, and therefore many limitations were present in the education instructo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the methodology.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CHI-related education programs for users is still required.

유재옥(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415-43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415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의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리모델링프로젝트의 추진방향인 목표를 잡는 것이다. 대학도서관은 주요 이용자인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최종목표로 삼았을 때, 공간배치나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이용자중심적 설계로 이어진다. 본 대학도서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목표를 수립하고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첫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인 학생들의 생활의 중심장소가 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문화적인 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오래 머물고 싶은 장소가 되어야 한다. 이용자가 도서관에 오래 머물게 될 때, 이용자는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이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은 매력적인 장소가 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준비한 내용과 진행의 전 과정을 소개함으로서 비슷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관련자들과 유용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the whole process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s remodeling project. The library's remodeling project specified three concrete goals. Firstly, the remodeled library should be the center of the students' everyday life in campus. Secondly, the remodeled university library should be a place where students may experience culture. Thirdly, the remodeled university library should be a place where students enjoying spending as much time as they can. Eighty three percent of those using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report satisfied with the newly remodeled library space and interior of the library building.

설문원(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437-45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4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장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로컬리티 기록화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x 등이 주창한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과 우리나라에서 최근 이루어진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여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향과 전략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로컬리티 기록화 패러다임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공간 기반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spanDoc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록화의 원칙, 구조, 절차를 포함하며, 특히 로컬리티 기록화의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축적되고 활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It begins with analysing the changes of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locality documentation through literature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a new paradigm of locality documentation is suggested in digital environment. It then suggests space-based documentation model, i.e., 'spanDoc Model (SPA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Model)' which represent the new paradigm. The model focuses on planning the framework of use and accumulation of locality documentation.

최영실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정보학 ) ;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pp.457-4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457
초록보기
초록

최근 해외에서 대표적인 기록관과 도서관이 통합되거나 협력하는 사례가 늘면서,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등 문화정보기관의 통합과 복합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동시에 국내에서는 지방기록관의 시설이 열악한 현실에서, 박물관의 콘텐츠 확충을 위한 고민과 도서관 기능의 다양화를 위한 시도는 이들 기관들을 통합한 문화정보센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록관과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한 '라키비움'의 개념이 제시되고, 국내에서도 라키비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실제 라키비움이 현실화된 바는 없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현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적 특성과 요건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라키비움의 기능 요건을 설정하여 공간 기획을 위한 기능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s the cases of merging and cooperation of archives and libraries increase abroad, research and discussions about integration of complex information services among information centers, such as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started to emerge. In a similar vein, the need for integrated cultural information centers are suggested in Korea as the museums encounter the need for expansion of contents, and libraries try to diversify their functions, yet regional public archive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Larchiveum(libraries + archives + museums)'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hat integrates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functions and resources, and research related to this started to emerge. At present, however, the Larchiveum has not been realized, the specific pathway to realize this kind of institution need to be discussed. This study analyze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and based on these,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larchiveum are drawn, and are reflected on the Larchiveum's functional planning for space planning in this study.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pp.479-49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479
초록보기
초록

영어는 국제적 환경에서 중요한 정보 활용의 도구로 인식되고 있어 영어독서능력도 점차 중요한 정보 활용능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이 연구에서는 비영어권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독서지도 프로그램의 운영 역사가 긴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50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영어독서지도 프로그램의 현황과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도서관이 수용할 수 있는 주요 요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중 주목할 만한 사항은 공공도서관이 평생교육측면에서 성인들의 영어독서활동을 지원하여야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과 가정 내에 영어독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도서관 중심의 독서활동을 가정으로 확장하여 영어독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모국어 독서습관이 외국어 독서활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영어독서 프로그램의 선행과정으로 모국어 독서역량을 강화해야 하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이다.

Abstract

English is an important tool of information literacy in terms of global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This impacts readers advisory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many ways. In order to identify status of English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this paper investigated 50 public librarries' services for non-English speakers in California, which has long history serving readers advisory services to them.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public libraries have to play a key role to help adult users to be competent in English with English reading programs. Public libraries also need to support families to build English reading environment at home to expand reading activities in libraries. In addition, reading habit in mother tongue is also important for English reading ability, so public libraries consider to build a bridge between them to provide effective English reading programs.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