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록관리 전문 인력의 전문성 증진 요건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Factors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2, v.23 no.3, pp.85-10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3.085
유혜정 (용인시청 )
정연경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2011년도에 개정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학사학위 취득자 및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중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시험에 합격한 자로 전문요원의 학력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록관리 전문 인력에 대한 상세한 자격이나 전문성에 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선진국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전문 인력이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 인력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표준교육과정 개발 및 인증, 자격 인증 시험 및 등록 제도의 도입과 실무 경력 및 업무 수준에 따른 인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아키비스트, 기록관리학, 전문성, 교육과정, 인증, 실무경력

Abstract

The requirements of being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were revised in 2011 and expanded in the scope of their education levels such as having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r completion of one year program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fter having B. A. degree in archival science, history 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ith passing of exams recruiting the experts in the field. However, archivists are not much recognized as professionals since there is no definite regulation for being experts in the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ut forth the development of their qualification by comparing qualification factors of developed countries for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Three factor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for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are suggested as follows: certification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of archival studies, a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archivists and recognition of working experience and specified duties to the archivists' qualifications as a way to acknowledge career-based expertise.

keywords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아키비스트, 기록관리학, 전문성, 교육과정, 인증, 실무경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