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웹에서의 기록과 기억: 집단 기억을 위한 웹 2.0 기술

Archival Memory on the Web: Web 2.0 Technologies for Collective Memor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2, v.23 no.2, pp.45-6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2.045
신동희 (University at Albany(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록물은 직간접적으로 기억과 관련되어 있다. 한 사회가 과거를 어떻게 기억하는지는 무엇이 기록관에 수집되고, 그것이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이용되는지에 달려있다. 기억은 종종 현시점의 개인적, 사회적 관심에 의해 촉발된다. 따라서 기록물의 해석은 현재의 관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무엇이 이용자들로 하여금 기록물을 찾게 만들고 이용자들이 기록물을 어떻게 이용하는 지의 이용맥락을 안다면, 기록물/기록관이 사회의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웹에서는 이용자들간, 이용자와 기록물/기록관 간의 관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기록관들은웹 2.0 기술 및 디지털 문화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이 기록물과 어떤 상호작용하는지, 기록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사회의 기억을 위한 기록관으로 새로운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록학이라는 관점에서 기억에 관한 담론을 조명하고, 특히 웹 2.0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어떻게 기록관이 기억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이용자와 이용맥락에 중점을 두어 기록학문헌에 비추어진 집단 기억을 논하고, 집단기억이 기록물, 역사, 증거라는 담론과 어떻게 연결되어 설명되어왔는지를 개관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웹 2.0 기술이 집단기억을 위해 어떤 기술적인 발판을 제공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기록물을 둘러싼 포괄적인 내러티브를 만들어가는데 이용자들이 웹 2.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떻게 자신의 기억을 나누고 집단 기억을 만들어가는지에 관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keywords
집단 기억, 웹 2.0, 디지털 문화, 이용맥락, 아카이브 2.0

Abstract

Archives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served for memory. What is collected in archives, how it is presented to users, and how users understand and use the documents affects how a given society remembers its past. Some archival scholars see that how users interpret documents from their perspectives and by social interests may play a central role in constructing social memory because memories are often triggered by individual and social concerns of the present time. Therefore, knowing what causes users to seek for a certain materials, how they use those materials and why can offer a clue to learn how archives serve for social memory. In the Web space,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archives/archival materials can be easily observed. Beyond making access simple for users and promoting archival documents using Web technology, archives can serve the broader purpose of memory by skillfully exploiting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and digital cultures in a way to observe how users engage in and contribute to archival contents available on the Web.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s on memory in the archival context, and in particular, how archives can serve as platforms for memory within the new environment of Web 2.0 technologies. It surveys discussions on memory in relation to archives, history, and evidence, focusing on the user and use context as it is represented in the archival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s how that technology provides features that allow us to see collective memory being constructed in the archives, and presents examples of how the Web 2.0 technology can structure the way users share their memories in building a larger narrative around the archive.

keywords
집단 기억, 웹 2.0, 디지털 문화, 이용맥락, 아카이브 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