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2, v.23 no.1, pp.317-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1.317
공순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박지훈 ( 홍익대학교 대학원 )
신한솔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keywords
학교도서관, 소규모도서관, 지역사회, 지역개방, 공간구성

Abstract

This study is for a small sized library to expand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utilizing information and public libraries by opening parted facilities to public and naming it a substitut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icher welfare system. In detail, the study discusses progression of the small sized library as well as budgeting and hiring staffs in Committee on Library and Policy.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in terms of capabilities because school library is different from public library target users, space, unit pla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small sized library as a function to find out type, plan, and space availability and size of ideal open school library.

keywords
학교도서관, 소규모도서관, 지역사회, 지역개방, 공간구성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