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DEA를 적용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University Library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1, v.22 no.4, pp.301-3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301
정영미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은 단위가 서로 다른 다수의 투입과 산출요소를 포함하는 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에 유용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29개 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상대적인 경영 효율성을 측정하고자 DEA의 CCR모형과 BCC모형을 적용하여 기술효율성(TE), 순수기술효율성(PTE), 규모효율성(SE)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로는 도서수, 자료구입비, 면적, 직원수, 자료실 좌석수가 사용되었고 산출요소로는 대출자수, 대출권수, 도서관 방문자수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13개의 대학도서관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적인 대학도서관의 원인은 순수기술비효율 보다 규모비효율의 비중이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효율적인 도서관의 규모의 수익효과는 대부분의 도서관이 규모의 수익체증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자료포락분석, 경영효율성,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Abstract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is useful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organizational units where the presence of multiple inputs and outputs. This study applied DEA-CCR and DEA-BCC to evaluate the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of 29 university libraries. The input variables were number of books, print edition expenses, building space, staff, number of seats. As output variables we estimated: reader visits, number of borrowed items, number of visitors. It was found out that number of libraries with 100% relative efficiency among 29 libraries were 13. Also the results shows that main reason of inefficiency was from scale rather than from pure technical. Many inefficient libraries were operations of increasing return to scale.

keywords
자료포락분석, 경영효율성,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