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박민수 (KISTI ) ; 현미환( KISTI) pp.5-1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보사이트의 이용자 사용성 평가를 통해 시스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시스템 운영 및 개발 과정에 반영시킴으로써 현 사이트에 대한 사용성 개선에 있다. 총 16명의 이용자에 대한 사용성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검색로그, 인터뷰, 씽크 어라우드 등 다수의 데이터 수집 테크닉들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자와 이용자 1:1 방식으로 이루어진 사용성 실험은 정해진 테스트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수집한 데이터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검색로그 데이터는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오류 등의 항목을 사용성평가 측정 기준에 따라 정량적으로 수치화한 후,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다. 씽크 어라우드와 사후 인터뷰로부터 수집한 구두 데이터는 텍스트화한 후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시스템 개선 전과 후에 대한 사용성 수준을 비교해 보면 효과성이 15점 증가, 효율성이 35초 단축, 만족도가 5점 상승, 오류횟수가 1.1회 감소하는 등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이 전반적으로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ssible needs for system improvements and reflect them on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assessment of an information site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study, a variety of data collection techniques, including search logs, interviews, and think-alouds, were used. The search log data was processed to quantify four evaluation aspects, which were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and errors. The verbal data collected by think-alouds and post-interviews were used to identify possible needs of enhancement in a qualitative analysis. The comparison of the usability before and after the system enhancement revealed an increase of 15 points for effectiveness, 35 seconds decrease in efficiency, 5 points increase in satisfaction, and 1.1 errors decreased, implying an overall improvement of the usability of the current system.

김판준(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1-4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0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측면에서 국내 독서 및 독서교육 분야의 연구 영역 및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1935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속간행물 기사 1,465건을 대상으로 생산성 측면에서 국내 독서 및 독서교육 분야 연구의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652건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기법의 하나인 저자 프로파일링을 이용하여 지적구조를 분석하였다. 셋째, 기본분석 및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로서 국내 독서 및 독서교육 분야의 구체적인 연구 영역 및 동향에 기초하여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domains and trends of reading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is field.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overview of research in terms of productivity, A basic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1,465 articles of domestic serials(1935~2011). Second, The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using author profiling as a technique of text mining was performed based on 652 papers of domestic journals(2000~2011). Third,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f the field.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pp.45-7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045
초록보기
초록

한국사회가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모되어 가는 과정에서 이주민 모국어가 포함된 다문화자료의 입수와 관련하여 개별도서관과 사서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는 북미와 유럽, 호주 등 서구의 도서관계에서는 어떠한 해결책들을 모색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3개의 국가도서관, 주립도서관, 공공도서관, 도서관협력체의 사례를 조사하였는데, 이들은 크게 공동구입 방식과 일괄대출 방식 등 협력기반의 다문화자료 입수방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는 국가적 범위, 주 범위, 도시 또는 도시 내 자치구 범위, 개별 도서관 범위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어서 조사대상 협력체들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서구의 협력기반 다문화자료 입수방식을 국내 도서관 환경에 적용가능한 방안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oday's S. Korean society has become more multicultural, so many libraries in S. Korea have been working hard to serve their "new custom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library cooperative systems for acquisition of multicutural materials in Western countries to relieve difficulties of libraries in S. Korea in acquiring multicutural materials. the study analyzed 23 national libraries, state libraries, public libraries and library systems in North America, Australia and Northern European Countries. The research found categorization schemes. First, library cooperative system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cooperative methods: cooperative acquisition and bulk loan method. Second, the system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erritorial scope of the service: country, state or province, borough or city and inter-library. The study also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ystems. It finally provides recommendations to apply the methods used by the library cooperative systems in Western countries to Korean's situation.

한승희(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71-9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0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이 전공자의 정보기술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이질적인 정보기술환경에서 전공자와 비전공자간, 그리고 전공 성숙도별 정보기술 수용에 대한 요인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헌정보학 전공자와 비전공자간 정보기술 수용요인은 사회적 특성을 나타내는 주관적 규범 변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성숙도에 따라 저학년 집단에서는 비전공자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학년 집단에서는 각 변수의 영향력이 저학년 집단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LIS curriculum affects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tention to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For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differences in factors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1) between LIS students and non-LIS students and (2) between LIS junior students and LIS senior students in heterogeneous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difference in IT acceptance factor(Subjective Norm variables) between LIS students and non-LIS students.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factors on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between LIS junior students and non-LIS students. LIS senior students show great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 with LIS junior students.

이신호 (국립중앙도서관.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pp.91-1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0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사서교육훈련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교육업무의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전국의 현장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미래지향적인 사서교육훈련시스템의 합리적인 발전방안을 강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 참여자 2,044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관계자 면담, 자체 운영평가 등을 기초로, 사서직 공무원의 교육훈련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였고, 그 해결방안으로는 교육훈련 전담조직의 개편, 교수요원의 양성, 교육훈련예산의 증액, 사이버 교육운영의 활성화, 평가시스템의 조정 등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서교육훈련 교육체제 발전방안의 일환으로 현재 건립 중인 국립세종도서관의 책무로서 사서교육훈련 업무를 분담 운영케 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보았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ise reasonable future-oriented librarian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plan for satisfying on-site demands of librarians nationwide by examining and finding out the operation of managing the nation's only one librarian training program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Based on a survey targeting 2,044 people participating in training program, meeting of interested persons, doing self-operation rating, it tries to find problems of training programs, examine ways to improve them and suggests solutions such as reforming of exclusively designed organization for educating, training of lectures, increasing training budget, promoting cyber training and balancing the testing systems. In addition, as part of improving librarian training programs, it considers Sejong National Library(currently being constructed) to be responsible for sharing its work and management.

이병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 송기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 pp.115-13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필요한 기본 여건을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은 학습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운영 전략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의 운영 자원과 지원 체제는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지역사회 개방 경험을 가진 사서교사들은 주요 운영 자원 중에서 사서교사 배치를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건비 확보,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설과 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가운데서 지역사회에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독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elf-evaluation indicators that each school could judge on its basic conditions for the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is one of the significantly operational strateg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community. But the school library has insufficient resources and support system for their local services. According to the survey teacher librarians who have the experience for their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have considered of deploying teacher libraria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y asserted emphatically that school library would secure personnel expenses and obtain facilities and resources to provide the stable and systematic service. Also among the school library's educational activities, reading education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program for the community.

박명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 이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pp.133-14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경상북도학교도서관교육연구회에 속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화 면담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학교도서관 중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절반이 되지 않았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도 커리큘럼을 개발 중에 있었고, 대부분 그 내용도 기본적인 도서관 소개 프로그램 수준에 머물렀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시행에 있어 가장 큰 장애로는 교과교사들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o measure the state of instructional programs in school libraries revitalized by the MEST project, teacher-librarians who are members of a provincial library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were asked to respond to a survey and phone interview. The results illustrate that both teacher-librarians and classroom teachers lack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literacy(IL), and that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ILI) was implemented in less than half of the surveyed schools. Even in those schools where ILI was implemented, the curriculum was underdeveloped, frequently consisting of little more than basic library orientation programs. The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ILI by classroom teachers was specified as a major barrier.

최상기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안인자( 동원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 ; 노영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김주섭(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45-16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1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선진국 대학에서 교육하고 있는 교과목 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미 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북미 대학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대학과 정보학대학의 교과목비교, 북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 운영 현황, 영역별 개설 교과목의 종류와 수, 주요교과목들의 분석이다.

Abstract

This paper analyses the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North America, in order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odules in LIS education institutions in advanced countrie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universities' webpages. The analysis includes a comparison between GSLI and SIS, the curriculum and subject opera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the number and kinds of core and optional modules and subjects.

조미아(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pp.169-18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1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인 독서도우미' 교육 프로그램과 독서지도 활동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독서도우미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청의 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자료협조를 받았으며, 2011년 노인독서도우미 교육에 참가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배경, 교육 참여 목적, 프로그램의 만족도, 개선방안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초급과정 136부, 중급과정에서 166부가 수집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르신 독서도우미 교육의 참여 목적은 일하는 즐거움, 자원봉사 등 개인의 문화적 활동이나 자아실현에 대한 의미가 강했으며 교육 프로그램과 독서지도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전문적인 내용의 교육, 활동기간의 연장, 지역아동센터의 적극적인 협조 등이 지적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investigation into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reading guidance activity program of the Elderly Reading Assistant Program, which is operated by GyeongGi-Do. It is surveyed by material cooper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in the GyeongGi-Do and by questionnaire the elderly who had participated in the GyeongGi Reading Assistant Education Program in 2011. The questionnaires are gathered based on general background, the participation object of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program,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by the elderly who had participated in the 138 beginner and the 166 intermediate course.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goal of the Elderly Reading Assistant Program is individual cultural activity or self-realization meaning such as the pleasure of working and the volunteer work, and the satisfaction in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reading guidance activity is high. It also presents the improvements of the program like professional education, the extension of activity period and the active cooperation from regional children's center etc.

김용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 ; 한희정(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pp.189-2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189
초록보기
초록

정보생산 및 정보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에서 전자정보원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가고 있다. 따라서 전자정보원의 이용률에 대한 통계데이터는 도서관 경영 및 정보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보원에 대한 정의 및 특징을 살펴보고 전자정보원과 관련된 이용통계표준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형 벤더 및 출판사에서 생산되는 이용통계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출판사 및 벤더들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자정보원 이용통계를 도서관 경영 및 정보서비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With the changes in information production and transaction, the ratio of electronic resources in library collection is increasing. Statistical date on usage of electronic resources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library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tate of global standards of usage statistics, and definition and features on electronic resources. It also provides current states of usage statistics data on electronic resources applied by major vendors and publis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s to apply statistical data on usage of electronic resources to library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rvice.

백진환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 ) ; 한윤옥(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13-22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21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만화에 대한 독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학습만화 독서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총 8차시의 학습만화 독서지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1차와 2차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1차 프로그램 실행 후 문제점을 보완하여 2차 프로그램을 설계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학습만화를 통해 갖게 된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학습만화 독서지도 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lthough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ve to read edutainment comics, they are not appropriately guided when they read those book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reading instruction for the edutainment comic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8 chapters programs of reading instruction-for the 4th grade students-in 2 times. After carrying out the 1st program, we found out the problem related to the program and developed the trouble shooted the 2nd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necessity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edutainment comics in order to activate students' reading. This research shows that if teachers use edutainment comics appropriately to teach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reading difficulties, they might help the students by developing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enthusiasm for reading. This study suggests reading guidance program should be used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nd reading activitie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have more interests to specific topics through the edutainment comics.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 ; 장윤미(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pp.231-25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2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환경학의 학문적 특성과 연구영역을 고찰하고, 환경 분야에 관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 분류표 및 KCI 등재 학술지를 보유한 학회, KDC, DDC, NDC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KDC의 환경학 분야의 분류 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환경철학, 환경사회, 환경교육, 환경독성, 환경건축, 지리환경을 각각 철학, 사회학, 교육학, 약리학, 건축학, 지리학 내 하위분야로 KDC의 본표에 추가하고, 표준세구분표의 -027 보조기법 및 절차를 -0276 녹색기술, 환경 기술로 세분 전개하여 환경에 관한 측면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환경법 및 환경행정에 대한 분류기호를 재정비하여 각각 법학, 행정학 내 하위분야로 설정하여 분류자와 이용자의 혼란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areas of environmental studies; to compare and analyze environmental studies in research classifications and Korean societies from Korea Research Foundation(KRF) as well as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KDC, DDC, NDC and to suggest several modifications for environmental studies in KDC for the next edition. First of all, environmental philosophy, environmental sociology,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toxicology, environment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geography are suggested to add to the main schedule in KDC and -0276 green technology(environmental technology) is suggested to add to Table 1. Standard subdivision. And new classification numbers for environmental law and environmental public administration are suggested in law and public administration.

이현실 (원광대학교 도서관 ) ; 최세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대학원 다문화학과 ) ; 이형선( 광신대학교 보육교사 교육원) pp.251-27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에게 14주 동안 동화읽기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 효과를 자신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독서 프로그램은 (1) 다문화 여성들에게 독서능력 자신감의 향상은 가져왔으나 (2) 자기 개념적 자신감에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3) 동화읽기 프로그램은 이들이 한국생활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많은 요인들을 제공하고 있었다. (4) 이들은 꿈은 있었지만 자신의 가능성을 펼 수 있는 자신감과 정보는 부족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결혼이주 여성들이 한국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도서관에서 동화를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다문화 커뮤니티 그룹, 다문화 주부교실을 운영하고, 그림 활용 정보이용 교육 실시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hows whether the 14-week picture story reading program offered to the multi-cultural women has effects on encouraging their confid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1) this program helped them to have confidence in reading Korean books. (2) However, it did not help them raise confidence in themselves. (3) This story reading program offered a lot of factors to help them have confidence in living in Korea. (4) The women had dreams, but they did not have enough confidence and information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libraries should provide multi-cultural women with bibliotherapy programs, multi-cultural community groups and classes for multi-cultural house wives, an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rough picture story books to help make their lives in Korea easier.

노동조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송유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pp.275-29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 분야 중에서 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서(사서교사)들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사서(사서교사)는 문화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선호하는 문화프로그램의 유형은 참여형과 체험형이고, 선호하는 홍보수단은 온라인 공간(카페, 클럽, 홈페이지)이었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사업 운영 시, 효과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현장 방문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과 개별 학교의 특성에 맞춘 연계프로그램의 참여였다. 협력수준으로는 기관간의 업무협약(MOU) 체결과 담당자간 협조체제를 선호하며, 평가 및 보고 방법은 문화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librarian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cultural programs in the field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Librarians and teacher librarians at school and public libraries perceive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ograms in library service. 2) Online space was mostly preferred as a means of PR activities by librarians and teacher librarians at school and public libraries. 3) The preferred methods to cooperate projects betwee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were to implement programs through public librarians' field visiting, and to participate linkage program customized to individual school libraries. 4) Preferred types of cooperation were to sign MOU and to make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정영미(동의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pp.301-3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301
초록보기
초록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은 단위가 서로 다른 다수의 투입과 산출요소를 포함하는 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에 유용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29개 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상대적인 경영 효율성을 측정하고자 DEA의 CCR모형과 BCC모형을 적용하여 기술효율성(TE), 순수기술효율성(PTE), 규모효율성(SE)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로는 도서수, 자료구입비, 면적, 직원수, 자료실 좌석수가 사용되었고 산출요소로는 대출자수, 대출권수, 도서관 방문자수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13개의 대학도서관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적인 대학도서관의 원인은 순수기술비효율 보다 규모비효율의 비중이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효율적인 도서관의 규모의 수익효과는 대부분의 도서관이 규모의 수익체증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is useful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organizational units where the presence of multiple inputs and outputs. This study applied DEA-CCR and DEA-BCC to evaluate the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of 29 university libraries. The input variables were number of books, print edition expenses, building space, staff, number of seats. As output variables we estimated: reader visits, number of borrowed items, number of visitors. It was found out that number of libraries with 100% relative efficiency among 29 libraries were 13. Also the results shows that main reason of inefficiency was from scale rather than from pure technical. Many inefficient libraries were operations of increasing return to scale.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17-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3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호주의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북미 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 33개 대학으로 확산된 iSchool(Information School) 운동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교육의 주요 현안 및 과제 그리고 미래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의 변화 및 본질 그리고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둘째, 한국, 미국 및 호주 대학교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현황을 조사하고 국가 간 교육과정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현재 전 세계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iSchool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의 미래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cavate the current critical issue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LIS) education. To do so, this research conducted a thorough comparative study of LIS eduction in Korea, U.S.A., and Australia, and the extensive research of the iSchool(Information School) movement currently involving 33 universities all around the world started with the initiative in U.S.A.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and the essence of LIS education and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and analyzing comparatively the prior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hen, it examined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LIS curricula in Korea, U.S.A., and Australia and performed the inter-country analysis. Finally,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of the future of the LIS education and research directions through an in-depth case research of the iSchool movement spreading out rapidly all over the world.

이란주(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341-35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341
초록보기
초록

어린이자료 출판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전문서평지가 갖는 선정도구로써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어린이자료와 관련된 전문서평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어린이자료 전문서평지 개발에 기본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로써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국외 어린이자료 전문서평지 4개와 국내의 어린이자료에 대한 서평을 제공하는 도서관기관지 1개를 선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구체적인 전문서평지의 구성요소와 기본틀을 관련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review journal is becoming important to select appropriate resources as the increase of publication of children's materials.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focal points and basic frameworks of review journals of children's materials to be used as select tools. The study employs case studies. Four foreign review journals and a Korean library journal are analyzed. The study found nine guidelines for basic framework to develop review journals of children's materials.

이재윤(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61-37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4.3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인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저널 페이지랭크를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 인용 데이터베이스는 해외 인용 데이터베이스에 비해서 인용 링크가 외부로 향하는 비율과 자기 인용 비율이 높다는 특성이 있다. 페이지랭크 공식은 반복 계산을 통해서 수렴하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이런 특성을 감안하지 않으면 신뢰할만한 저널 페이지랭크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국내 인용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저널 페이지랭크 측정 방안을 살펴보고 KSCD를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산출된 페이지랭크 지수에 대해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으로 검증해본 결과 SCImago 저널 랭크 공식을 적용하고 cr2 방식으로 저널 자기 인용을 조정하는 것이 국내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저널 영향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방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calculating the journal PageRank in a domestic citation database. Korean journals show relatively high journal self-citation ratios and have many outgoing citations to external journal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domestic citation database. Because the PageRank algorithm requires recursive calculation to converge, those two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itation databases must be accounted for in order to measure the citation impact of Korean journals. Therefore, two PageRank calculation methods and four formulas for self-citation adjustment have been examined and tested for KSCD journal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SCImago Journal Rank formula with the cr2 type self-citation adjustment method seems to be a more appropriate way to measure the relative impact of domestic journals in the Korean Science Citation Database.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