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연구

A Critical Analysis of Literature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1, v.22 no.1, pp.47-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047
노영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오상희 ( Florida State University,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인터넷사용량의 증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건강정보(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CHI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CHI와 관련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공공도서관 사서(소비자건강사서)의 역할, 그리고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CHI 서비스 내용 등을 규명하고자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1) CHI 장서 및 정보원 개발, 2) CHI 참고서비스, 3) CHI 이용자 교육, 4) CHI 취약 계층에 대한 서비스, 5) CHI 아웃 리치 프로그램 개발, 6) CHI 협력체계구축 등이며, 각각의 서비스 개발에 대한 현황과 관련 사례를 제시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및 국외 나라들의 서비스를 위주로 조사했지만, 연구 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CHI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소비자건강정보, 건강서비스, 소비자건강사서, 공공도서관, 문헌분석연구

Abstract

Due to the growth of people's use of the Internet as well as interests in health, people's needs of health information have rapidly increased in public libraries.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about users'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can offer to support these user groups. In the current study,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erving users with health information and to identify the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services available to users in public libraries. As for the CHI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can offer for users, the current study emphasizes and discusses the direction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following six approaches: 1) CHI collection and information resource building, 2) CHI reference services, 3) CHI us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4) CHI services for minority/disability/cultural diversity groups of users, 5) CHI outreach program development, and 6) CHI network development with medical libraries, academic libraries, hospital,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Although most of the discussion in the current study centers on cases and services provided in the United States or other countries, findings would be use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CHI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to design and develop CHI services in Korea.

keywords
소비자건강정보, 건강서비스, 소비자건강사서, 공공도서관, 문헌분석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