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김선이 (서울시립동대문도서관 ) ; 김윤섭( 국제대학 영유아보육과) pp.11-2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011
초록보기
초록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고등교육의 환경변화로 대학에 대한 역할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효과적인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역할 또한 강조되고 있다. 아울러 대학의 풍부한 전문정보 자원과 훌륭한 시설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접근권을 보장 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 또한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평생교육의 확대와 시민의식의 변화에 따라 대학이 지역사회의 구성요소로서 지역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지역사회 개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4년제 대학도서관 개방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에게 도서관을 개방하고 대학도서관의 풍부하고 전문적인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방안으로 지역의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과 연계하여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 및 대학당국의 대학도서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대학도서관의 자구적인 노력으로 대학의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서관 개방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e expectation and the role for the university are rising due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hange of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and the role to realize the effective lifelong study is also underlined in lifelong study society. And the social awareness is also diffus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share the specialized substantial information resource with the community, and ensure the access right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local inhabitant. Like this, the roll as an information center that the university can develop the local society as the component of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 diffusion of lifelong study and the change of civic awareness. To check the open state of university libraries to community,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open state of 4-year-course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nd Gyoenggi region. On this base,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open its libraries and positively offer the abundant specialized data of university libraries to the local resi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that the university libraries can cooperate connecting with the local public libraries and the school libraries as a positive service way of university libraries. Also this study accentuated that the university libraries should establish an open-door policy of its libraries and enlarge the service for the local residents by using the university conditions to maximum with the positive suppor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of government and the university's bureaucracy.

강순애(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pp.27-4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07년 6월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한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와 대중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과 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 디지털자원의 대중화에 비중을 두어 진행하였다.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은 곧 팔만대장경판(국보 제32호)과 그 경판을 봉안한 대장경판전(국보 제52호)을 말하며, 고려 팔만대장경판은 1,514종(경) 81,350판 162,700면이다. 해인사는 이들 경판의 디지털화를 위해 2009년 5월 18일부터 2010년 2월 19일까지 그 1차 사업을 마무리하고, 현재는 2차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현황과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자원의 대중화에 있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 분야 자원의 통합과 대중화의 성공 사례들을 개관하고 지속사업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팔만대장경 및 문화유산을 디지털화하고 그 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쓰이는 것은 물론이고 앞으로 진행되는 상호관련 연구영역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paper is focused on Korea's inscribed heritages, digitiz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and public uses of the digital properties in order to describe the Digitization & Populariz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Memory of the World. The Goryeo Daejanggyeong or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ulptures refer to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National Treasure No.32), and repositories (National Treasure No.52) where the woodblocks are stored. The woodblocks numbers 1,514 types/81,350 blocks/162,700 pages. Haein temple has worked the digital Tripitaka project 2009-2010 and The project for 2010 will focus on DB correction and modification, improvement of homepage that was made in 2009. For this, the focus was especially put on investigating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digital Tripitaka project. In popularization of the digital Tripitaka,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s utilization policy and current situation of knowledge resources about culture, successful cases of digital Tripitaka projects, and popularization strategie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digitization of other cultural heritages and related researches in the future.

노영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오상희( Florida State University,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pp.47-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047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사용량의 증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건강정보(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CHI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CHI와 관련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공공도서관 사서(소비자건강사서)의 역할, 그리고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CHI 서비스 내용 등을 규명하고자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1) CHI 장서 및 정보원 개발, 2) CHI 참고서비스, 3) CHI 이용자 교육, 4) CHI 취약 계층에 대한 서비스, 5) CHI 아웃 리치 프로그램 개발, 6) CHI 협력체계구축 등이며, 각각의 서비스 개발에 대한 현황과 관련 사례를 제시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및 국외 나라들의 서비스를 위주로 조사했지만, 연구 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CHI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Due to the growth of people's use of the Internet as well as interests in health, people's needs of health information have rapidly increased in public libraries.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about users'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can offer to support these user groups. In the current study,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erving users with health information and to identify the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services available to users in public libraries. As for the CHI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can offer for users, the current study emphasizes and discusses the direction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following six approaches: 1) CHI collection and information resource building, 2) CHI reference services, 3) CHI us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4) CHI services for minority/disability/cultural diversity groups of users, 5) CHI outreach program development, and 6) CHI network development with medical libraries, academic libraries, hospital,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Although most of the discussion in the current study centers on cases and services provided in the United States or other countries, findings would be use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CHI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to design and develop CHI services in Korea.

임성관(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휴독서치료연구소) pp.79-9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07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독서 활동에 내재되어 있는 치료적 요인을 분석하여 노인의 특성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 노인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와 예방으로서 제시한 독서 활동의 활용과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독서 활동은 노인이 스스로 주도하여 내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창조적 활동의 의미를 부여하여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내적 갈등과 감정, 욕구, 생각 등 의식의 깊은 부분을 표출하여 노인이 겪는 고통, 상처, 아픔을 드러내어 치유한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행위가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d the treatment factors in the reading activ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for such factors to applied to the actual life of the old, and sought for the utilization and direction of the reading program that is presented as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emotional problems of the old people. Considering such circumstances, involving in reading activities improves the quality of the old people's life by meeting their internal desire by themselves and giving the meaning to their life with creativity. In addition, the reading activities helps the old people to express in-depth conflicts, emotion, desire and thinking that they are routinely experiencing, thus leading to the treatment of their agony, trauma, and pain. In such sense, it is very meaningful for the elderly to be joined in any reading activities.

박옥남(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95-11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0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실제 정리사서에게 요구되는 자격요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정리사서에게 요구되는 목록 및 분류지식, 도서관 정보화 시스템, 자료유형, 메타데이터 유형, 전거통제, 외국어 능력, 컴퓨터 능력, 인성 및 관리 능력, 목록교육에 대한 만족도, 목록교육의 개선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질을 갖춘 사서를 양성하기 위하여 목록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충남지역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자의 인식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 향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정리사서 직무기술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study aims at identifying catalogers' perception of competencies in cataloging. The study focuses on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knowledge, library systems, materials, metadata formats, authority control, foreign language, computer skills, and interdependence and personal skills. It discusses the gap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catalogers' perception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job.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cataloging education. It has values in that the study as an exploratory study urges continuous studies to identify how catalogers' perceptions are changed according to information environment. It will be a base to develop job descriptions for catalogers.

한만성(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17-13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11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과 관련된 통찰력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정보 활용능력이 가진 모호성과 다양한 개념을 통해 정보 활용능력 교육 또한 일률적인 지침이나 표준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밝혔다. 또 다양한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글쓰기와의 연관성을 비중 있게 다룬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본 뒤, 실제로 글쓰기 교육을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연계하여 협력적으로 실행한 미국 유타 대학과 캐나다 윈저 대학의 사례 연구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상황에서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또는 협력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r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ILI) and writing instruction to gain further insigh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forming of Korean ILI program. First of all, as evidenced by the ambiguity and various concepts that are possessed by the information literacy, this paper clearly indicates that the ILI cannot be achieved with a standardized set of guidelines across the board. And then, after investigating into the theories which deal mainly with the relativity to writing amongst the various ILI programs, this paper introduces precedents of Utah University, USA and Windsor University, Canada which have carried out writing instruction by actually connecting it with the ILI. Finally, this paper sounds out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s or cooperation between writing and ILI within the scope of the Korean situ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s.

이명희(상명대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135-15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8개 전자책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기술개발,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16개 평가항목을 가지고 그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6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가장 우수한 전자책 제공업체는 교보문고, 북큐브, 리디북스, 인터파크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기술개발분야에서는 북큐브가, 콘텐츠 분야에서는 교보문고가, 그리고 서비스 분야에서는 교보문고와 리디북스가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취약한 항목은 '자가출판 지원유무', '가독성', '홍보의 필요성', '콘텐츠 보유종수' 항목 등으로 나타나 이들 항목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제언으로는 우수한 기능의 단말기 개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개발, 가독성 향상, 콘텐츠 주제의 다양화, 콘텐츠의 최신성 유지,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및 확보,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정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erformances of eight current e-book producers and suppliers in three areas(technology development, contents and services) using 16 evaluation criteria. Each criterion was measured using 6 scales on eight e-book producers and supplie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overall, Kyobobook was the best performer, followed by Bookcube in the 2nd, Ridibooks the 3rd and Interpark the 4th. Specifically, Bookcube was the best in the field of 'technology development', Kyobobook was the best in the field of 'contents' and Kyobobook and Ridibooks worked equally best in the field of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have been suggested for developing better e-book producers, effective interface design, enhancement of readability, variety of contents, development of multimedia materials and aggressive advertisement.

김선애(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55-17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방선거 후보자들이 도서관관련 공약을 제시하였는지, 제시하였다면 어떤 공약을 제시하였는지 그리고 광역단체장 후보자들과 기초자치단체장 후보들 간에 공약 내용에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출발점은 지방정부차원에서 도서관관련 문제를 정책의 관점에서 접근하기를 기대하며, 지방선거에서 도서관 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데 있다. 도서관관련 문제의 경우, 국가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도 있지만 자치단체장들이 관심과 의지를 갖고 다가설 경우 보다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는 2010년 6.2일 실시된 동시지방선거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도서관관련 공약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후보자들의 도서관관련 공약은 도서관인프라 구축에 관한 공약이 압도적이었으며, 다음으로 학교도서관 개방 혹은 서로 다른 관종간의 도서관 서비스 협력 제안, 책 읽는 도시 조성 등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독서진흥시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도서구입비 지원 확대 등을 통한 장서확충 및 도서관 조직 및 인력의 확충을 통한 도서관 발전 등을 제안한 공약은 매우 미흡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promises of library field were, what the promises of candidates were, and whether the content of the promises showed the dissimilar tendency or discrepancy.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that the library-related issues should be raised in the local election in order that library-related problems in the local area were considered as the policy. The standpoint of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notion the library-related problems could be settled if the candidates have an interest in the library field. The rang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in the election conducted in June 2. 2010. Candidates' promise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most candidates had interest in establishing of library infra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interest in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y policy, allocation of budget, and job creation for librarian.

정종기(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71-19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1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앱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예측에 의거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앱기반 모바일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모바일 웹과 앱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스마트폰 앱 평가 원칙을 수립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마케팅과 교육서비스에 앱을 개발하거나 활용한다. 넷째, 앱정보에 대한 앱서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martphone and app, to review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the representative service examples in academic libraries'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s, and to propose the proper mobile services methods based on smartphone apps in academic libraries of Korea. The ways for mobile app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re like these: 1) Libraries need to prepare the hybrid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ombination of mobile web and app for smartphone. 2) Libraries have the guidelines for choosing apps which are applied to library services. 3) Libraries develop the apps for library marketing and education services and make use of existed apps to their own services. 4) Smartphone application bibliography service(Appography service) needs to be developed and serviced as an academic library service field.

정희선(덕성여자대학교 경영학과) pp.193-2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193
초록보기
초록

현대 마케팅의 특징은 소비자지향성에 있다. 일반기업이 소비자만족을 목표로 모든 경영활동을 통합하듯이 도서관경영에서도 이용자만족을 목표로 모든 도서관업무를 계획하고 조직하고 지휘하고 통제하는 경영마인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케팅지향적 경영철학의 실행을 위하여 소비자의사결정과정모델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행동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 결과를 도서관 마케팅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Abstract

In this era all successful organizations, whether profit or nonprofit, accept marketing concept as management philosophy and try to maximize consumer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own goals. Libraries are no exception. A consumer decision process model is borrowed to explain how library service users act through five stages. Armed with information about library users, library management can be more user-oriented and bring higher user satisfaction. Some measures for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are suggested.

조인숙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 ; 김문규( 한성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p.211-22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2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직업교육 분야와 밀접하게 연관된 취업관련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 전화인터뷰 조사,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취업관련자료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자료의 효과적인 관리 및 자료구입예산의 효율화를 위해 도서관이 주도적으로 취업관련자료 업무를 담당하되, 자료의 비치 관리는 학생의 접근성과 이용 편리성, 활용성을 고려해 도서관과 취업부서가 연계하여 공동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취업관련자료의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도서관은 전문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을 고려한 전공계열별 공통 기초전공자료의 개발, 전공관련 자격증과 연계되는 핵심 취업전공자료 개발, 직업실무중심자료 집중 확보 등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plan for an effici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job-related collections closely connected to the job education field of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ta inquiry, telephone interview inquiry and questionnaire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 efficient utilization plan of job-related collections was derived. It reached a result that it is desirable that libraries initiatively operate job-related collections but in consideration of the approachability, use convenience and utilization of students, the display and management of materials are performed jointly with libraries and employment departments. In addition, so as to plan the development of the job-related collections, libraries need to develop the common basic major materials by majo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s well as educational purposes of colleges and develop the core employment major data connected to major related certificates and intensively secure job practice focused materials.

오한석(한국산업기술진흥원) pp.231-24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231
초록보기
초록

국가 R&D 과제관리 분야 관련기관들은 최근 다양한 산업기술정보, 연구동향정보의 수집과 분석,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보유정보의 유효성 확대와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 등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하여 지속적인 투자 및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추진 중인 지역 R&D를 통합 관리하고자 추진 중인 지역산업정보망 구축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산업 사업관리(개발지원 및 성과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실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를 운영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National R&D project management agencies have promoted continuous investment and development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such as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dustry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research trend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user oriented information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Region Industry Total Information System status to manage regional R&D and suggests methods for regional industry project management. This paper ma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ough research method.

Kim, Yang-Woo(Hansung University) pp.247-26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247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 정의형 적합성 연구가 적합성의 유형 및 기준 식별에 큰 진전을 이룬 반면, 그 결과를 실제 시스템 디자인에 적용시키는데는 큰 발전이 없었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 연구는 식별된 적합성기준이 주요 웹검색엔진의 인터페이스 기능에 어느정도 접목되었는지를 조사하고 무엇이 더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였다. 시스템 기능에 접근하기전에 본 연구에서는 적합성연구와 정보학 및 HCI에서 이와 유사한 이용자중심 연구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인터페이스기능을 지원하기위한 제안점은 (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추가적인 개인화, (2) 웹 컨텐츠를 위한 저자제공 메타 태그, 그리고 (3) 링크구조에 입각한 비주제적 표현의 확장 등이다.

Abstract

Although research has shown a significant amount of work identifying various dimensions of relevance along with exhaustive lists of relevance criteria, there seem to have been less effort to apply the findings to improve actual systems design.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o what extent those relevance criteria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interface features of major commercial Web search engines, suggesting what can/should be done more. Before stepping into the actual system features, this paper compares recent relevance research in Information Science with other human factor studies both in Information Science and its neighboring discipline (HCI), as an attempt to identify studies that are conceptually similar to the relevance research, but not named as such wa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studies are presented. Recommendations suggested to support applicable interface features include: 1) further personalization of interface designs; 2) author-supplied meta tags for the Web contents; and 3) extensions of beyond-topical representations based on link structure.

이혜원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윤소영(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구위원) pp.263-28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역사인물 중심의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동시에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및 국편의 다양한 정보검색 시스템을 활용하는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의 개념 표현 기준과 전문가들이 작성한 마인드맵을 분석하여 현재 시스템과 전문가간의 정보 표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정보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에 부합하고 잠재력 있는 정보검색시스템에 적용할 역사용어 온톨로지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클래스, 속성을 정의하고, 인스턴스 입력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나열함으로써, 역사정보가 갖는 고유한 특성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온톨로지의 장점인 개념 확장을 활용하여 역사정보의 다양한 특성들을 조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struct a History Ontology Model for historical person to analyse issues of Korean History Thesaurus and interview history specialists who are use information systems i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is study verifies the difference between both descrip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erm concept in Korean History Thesaurus and mind-map written by history major. Based on this, we build history ontology model to meet users' information needs and adapt to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irst, to organize unique features of history, we define class and attribute and then enlisted considerations for instance input. The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of new service through combination multiple features using concept extension that is a strength of ontology.

김정미 (한성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서은경(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pp.281-29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281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은 웹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참여와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Open API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원들을 검색할 수 있게 한 D대학 도서관시스템에 대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90명의 학생들에게 시사적 주제 2개와 학업관련 주제 2개를 가지고 검색하게 한 후, 홈페이지의 통합검색 기능 및 연계기능에 대한 만족도와 연계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검색기능의 용이성과 미리보기의 유용성 면에서 가장 높은 만족을 보인 반면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해서는 불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진자료보기 및 동영상보기, 검색결과의 배열 및 브라우징, 검색결과의 양과 검색속도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콘텐츠를 최신성, 적합성, 유용성, 활용성면에서 평가한 결과가 지식인, 도서관 소장자료, 학위논문/학술지, 이미지자료 순으로 만족하였다. 검색확장에 대한 불만족 사항은 유용성이 높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regarding the search and search results of D College Library system implemented by Open API. For the study, 90 students of D College searched the library system with 4 subjects regarding on current affairs and assignments, and then evaluated the satisfaction on search functionality and contents usability. In results, they satisfied search expansion in general. Especially,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convenience of search method and preview was the highest, but that of level for the arrangement and browsing of search results and the searching speed was the lowest. In terms of currentness, relevance, usefulness and utilizability aspects, Naver was the most highly evaluated, followed by library’s database, dissertation/academic journals, Youtube and Flikr. The cause of the unsatisfactory could be reduced when the library system implements the useful and attractive search interface.

신동민(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01-33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1.3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기관 지식관리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기 위해 대덕연구단지의 현행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지식관리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변화와 지식경영시스템의 이용률 등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배경을 위한 문헌적 연구방법과 사례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방법을 병행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실제 시스템 이용현황파악을 위해 지식경영시스템의 로그데이터 분석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한 질문은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과 인식, 지식기여에 대한 평가 및 보상, 지식내용의 품질, 시스템의 활용도 등 총 29개 항목으로 구성하고, 가설검정과 빈도분석을 통한 기술통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로, 지식경영시스템 시행 초기보다 현재의 관심, 이용률 등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과 보상제도의 유지 및 보상방법의 확대도 원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way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changes in users' perception, and the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Daedeok Science Park,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reviews previous studies and employs a survey for case studies. This study also conducts log data analysi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system use. The questionnaire asks about the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evaluation and rewards of knowledge contribution, quality of knowledge, and the level of utility. This study tests hypothesis and analyzes the frequencies. This study finds that the interest and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have been remarkably dropped, and also reveals that maintaining reward systems and diverse rewarding systems are required.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