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능력 평가 연구 - A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ing Ability for the Literature Reading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Freshmen of A Universit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0, v.21 no.3, pp.17-2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0.21.3.017
이종문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 실태를 분석,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지문을 읽는 시간 독해패턴 이해력 기억력 독해습관 및 태도 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수능평균을 기준으로는 조사대상 학생의 58%가 양호하고 42%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사대상 학생의 77%는 양호한 패턴을 가지 있으나 23%는 독서패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해력과 기억력을 평가한 결과 각각 전체의 69%와 67%가 양호한 것으로, 31%와 33%가 보통 또는 미흡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평소 독서습관 및 태도를 조사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학생은 평균 77%, 문제가 있는 학생은 평균 23%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첫째 대학생들의 독해평가를 위한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할 것을, 둘째 입학전형과정 또는 입학 후에 독해능력과 독서습관 및 태도를 평가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평가결과 미진한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가칭 기초학력교육원을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keywords
독해, 독해능력, 읽기시간, 독해 패턴, 이해력, 기억력, 독서습관 및 태도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in reading the literature and on the basis of the identified problems, to suggest the approaches to solve the problems. To this end, time required for reading passages, reading patterns, understanding, memory and reading habits and attitudes were analyzed with the freshmen in A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58% of subjects was good and 42% was not sufficient on the basis of the averages in Scholastic Aptitude Test. Second, 77% of subjects had the good patterns but 23% showed certain problems in reading patterns. Third, 69% and 67% of subjects illustrated good results in the analysis on understanding and memory, respectively. However, 31% and 33% were evaluated as being on the general level or requiring efforts in the analysis on understanding and memory, respectively. Nex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reading habits and attitudes, 77% had no problems but 23% required improvement. For solving th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he scientific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for evaluating the read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ading ability, habit and attitude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for admission or after admission. Finally, it is required to operate the Fundamental Academic Ability Learning Center(tentative name) to improve the ability of students who show the insufficient results in evaluation.

keywords
독해, 독해능력, 읽기시간, 독해 패턴, 이해력, 기억력, 독서습관 및 태도

한국비블리아학회지